'포항지진' 망천리 논서 액상화 '높음' 판정… "우려 수준 아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항 10곳 시추조사 후 5곳 대상 '액상화 지수' 분석
전문가 "구조물에 피해 줄 정도 액상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정부, 3천여곳 시추 정보로 액상화 가능성 추가 분석 방침 포항 지진으로 액상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우려한 수준은 아니라는 정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는 1일 오전 서울정부청사에서 '포항 지진 액상화 관련 중간조사 결과 브리핑'을 열고 "포항 지역 10곳을 시추조사해 이 가운데 5곳을 분석한 결과 망천리 논 1곳에서 액상화 지수가 '높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그러나 조사 내용과 전문가 자문 결과를 종합하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액상화 현상이란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 지반에 지진과 같은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흙 입자 사이 수압이 상승해 지반이 강도를 잃고 흙입자와 물이 분리돼 지반이 약해지는 현상이다.
지난 15일 포항 지진 이후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17건 신고됨에 따라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기상청은 19일부터 이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분석을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행안부는 "신고 지역 17곳 가운데 14곳에서 지하수 용출 또는 모래 분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상화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했다"면서도 "대성아파트 등 3건은 단순 침하나 물고임으로 액상화와 관련이 없는 현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 진앙에서 10㎞ 이내 ▲ 액상화 우려 지역(하상·해안퇴적지형) ▲ 액상화 신고 지역 ▲ 기존 시추조사 자료가 없는 지역 ▲ 당초 기상청의 연구사업 지역 등을 기준으로 10곳을 골라 시추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10곳 가운데 홍해읍 망천리 2곳, 남구 송도동 2곳, 홍해읍 매산리 1곳 등 5곳이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나타났다.
조사단이 이들 5곳을 대상으로 '액상화 안전율'을 산정했더니, 모든 곳에서 기준치 1.5 이하인 0.45∼0.71로 나타났다.
이에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 액상화 지반이 많은 일본에서 위험도를 판정하는 방법인 '액상화 지수'(LPI·Liquefaction Potential Index)를 따져봤다.
그 결과 4곳은 액상화 지수가 '낮음'으로 판정됐지만, 망천리 논 1곳은 액상화 지수가 6.5로 '높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액상화지수는 '없음'(0)·'낮음'(0∼5)·'높음'(5∼15)·'매우 높음'(15 초과) 등 4단계로 구분된다.
액상화 지수 '높음'은 구조물 설치 시 액상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뜻이고, '낮음'은 중요 구조물 설계 시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행안부는 그러나 "포항 지진으로 액상화가 발생했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며 "대다수 전문가는 국민이 액상화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한국지진공학회 이사인 하익수 경남대 교수도 "액상화가 발생한다고 곧바로 구조물의 피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게다가 액상화지수 '높음'이 나온 망천리의 경우는 논이 있지 않느냐"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번 포항 지진으로 구조물에 피해를 줄 정도의 깊이 있는 액상화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포항 지역의 개발 사업을 통해 기존에 마련된 3천여 공의 시추 정보를 활용해 진앙지 주변 지역의 액상화 가능성을 추가 분석할 방침이다.
또 추가 신고가 들어오면 주민과의 협의를 거쳐 시추조사도 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포항 지역 액상화와 관련된 최종 분석결과와 정부의 액상화 대책 추진방향에 대해서는 최종 분석결과가 나오는 대로 추가로 발표하겠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
전문가 "구조물에 피해 줄 정도 액상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정부, 3천여곳 시추 정보로 액상화 가능성 추가 분석 방침 포항 지진으로 액상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우려한 수준은 아니라는 정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는 1일 오전 서울정부청사에서 '포항 지진 액상화 관련 중간조사 결과 브리핑'을 열고 "포항 지역 10곳을 시추조사해 이 가운데 5곳을 분석한 결과 망천리 논 1곳에서 액상화 지수가 '높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그러나 조사 내용과 전문가 자문 결과를 종합하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액상화 현상이란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 지반에 지진과 같은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흙 입자 사이 수압이 상승해 지반이 강도를 잃고 흙입자와 물이 분리돼 지반이 약해지는 현상이다.
지난 15일 포항 지진 이후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17건 신고됨에 따라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기상청은 19일부터 이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분석을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행안부는 "신고 지역 17곳 가운데 14곳에서 지하수 용출 또는 모래 분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상화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했다"면서도 "대성아파트 등 3건은 단순 침하나 물고임으로 액상화와 관련이 없는 현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 진앙에서 10㎞ 이내 ▲ 액상화 우려 지역(하상·해안퇴적지형) ▲ 액상화 신고 지역 ▲ 기존 시추조사 자료가 없는 지역 ▲ 당초 기상청의 연구사업 지역 등을 기준으로 10곳을 골라 시추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10곳 가운데 홍해읍 망천리 2곳, 남구 송도동 2곳, 홍해읍 매산리 1곳 등 5곳이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나타났다.
조사단이 이들 5곳을 대상으로 '액상화 안전율'을 산정했더니, 모든 곳에서 기준치 1.5 이하인 0.45∼0.71로 나타났다.
이에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 액상화 지반이 많은 일본에서 위험도를 판정하는 방법인 '액상화 지수'(LPI·Liquefaction Potential Index)를 따져봤다.
그 결과 4곳은 액상화 지수가 '낮음'으로 판정됐지만, 망천리 논 1곳은 액상화 지수가 6.5로 '높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액상화지수는 '없음'(0)·'낮음'(0∼5)·'높음'(5∼15)·'매우 높음'(15 초과) 등 4단계로 구분된다.
액상화 지수 '높음'은 구조물 설치 시 액상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뜻이고, '낮음'은 중요 구조물 설계 시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행안부는 그러나 "포항 지진으로 액상화가 발생했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며 "대다수 전문가는 국민이 액상화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한국지진공학회 이사인 하익수 경남대 교수도 "액상화가 발생한다고 곧바로 구조물의 피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게다가 액상화지수 '높음'이 나온 망천리의 경우는 논이 있지 않느냐"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번 포항 지진으로 구조물에 피해를 줄 정도의 깊이 있는 액상화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포항 지역의 개발 사업을 통해 기존에 마련된 3천여 공의 시추 정보를 활용해 진앙지 주변 지역의 액상화 가능성을 추가 분석할 방침이다.
또 추가 신고가 들어오면 주민과의 협의를 거쳐 시추조사도 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포항 지역 액상화와 관련된 최종 분석결과와 정부의 액상화 대책 추진방향에 대해서는 최종 분석결과가 나오는 대로 추가로 발표하겠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