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시간으로 지난 금요일 마감한 뉴욕 3대 지수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다우와 S&P 500지수를 기록했던 목요일 장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는데요. `러시아 스캔들` 재부각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증폭으로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는 평갑니다. 다만 상원이 세제개편안 통과를 위해 충분한 표를 확보했다는 소식에 또 `러시아 스캔들` 에 대한 ABC 방송 보도가 오보라는 소식에 장 막판 하락폭은 줄여나가는 흐름이었습니다.자세한 지수 확인해보겠습니다.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17% 떨어지며 24231.59에 거래 마쳤습니다. 다우지수는 장중 300 포인트 넘게 하락하기도 했지만 낙폭을 축소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역시 0.38% 조정을 받았습니다. 전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S&P 500 지수도 0.2% 밀리며 2642.22에 종가 형성했습니다. `러시아스캔들` 관련 보도가 나온 직후 S&P 500 지수는 한 때 1.6%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S&P 500 섹터에서는 소재 업종과 통신 업종이 가장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주간 흐름도 확인해보겠습니다. 지난주 뉴욕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다우존스는 많이 올랐습니다. 목요일에는 사상 첫 2만 4천선의 고지를 넘기도했습니다. 주간으로는 2.86% 올랐네요. 나스닥 지수가 유일하게 주간 기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0.6% 빠졌네요. S&P 500 지수. 다우 지수와 마찬가지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주간 기준 1.53% 상승했습니다. 그 동안 많이 오른 기술주는 팔고, 부진했던 종목을 사는 `순환매`가 나타나면서 나스닥이 조금 부진했다는 평갑니다.특징주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마존이 의약시장 진출을 고려하며 제약회사들과 예비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소식이 나오자 제약회사 밀란이 4.3% 상승했고요. 아마존은 1.2% 하락했습니다. 애플 등 FANG 주들은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애플 0.5%, 페이스북 1.2%, 알파벳 1.1% 빠졌습니다.바로 이어서 상품시장 동향도 확인해보겠습니다. 먼저 국제유가부터 살펴보시죠. 국제유가는 산유국들의 감산 합의 연장으로 상승했습니다. OPEC은 지난 30일 회의에서 내년 3월까지 예정된 감산 시한을 내년 말까지로 연장하기로 했죠. 이번 합의에는 러시아 등 비 OPEC 10개 산유국도 동참했습니다.뉴욕 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서부텍사스산원유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1.67% 오르며 58.36달러에서 거래 마감했습니다. 주간 기준으로는 1% 떨어지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런던 아이스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브렌트유도 확인해보시죠. 배럴당 1.78% 상승해 63.67달러로 거래 마감했습니다. 주간 기준으로는 0.5% 하락 했습니다.이어서 금 가격 보겠습니다. 나흘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네요. 트럼프 대통령을 둘러싼 러시아 리스크가 다시 불거지자 위험자산인 미국 증시는 약세를 안전 자산인 금값은 강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전일 보다 온스당 0.2% 상승한 1279.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전날 까지는 세제개편안 상원 통과 가능성이 커져 주간 기준으로는 1% 하락했습니다.한편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전일 대비 0.2% 하락하며 92.9 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주간으로는 0.1% 상승했네요.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유럽 증시 장 막판, 러시아스캔들로 인해 뉴욕증시가 출렁이자 이에 유럽증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됩니다.범유럽스톡스 600지수는 전일 보다 0.7% 빠져 종가 383.97에 거래 마쳤고요, 독일 닥스 지수 많이 빠졌네요. 1.25% 하락하며 13000선 밑을 하회하는 모습. 12861선에서 종가 형성했습니다. 꺄끄지수도 마찬가집니다. 1% 넘게 후퇴해 5316선에 안착했습니다.이날 유럽 증시 장 초반에는 미국 세제개편안에 주목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상원이 예정됐던 표결을 하루 미루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상원에서는 법안 통과를 자신하며 이 부분에서 다소 안도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 경기 지표도 양호했습니다. 11월 유로존 제조업 PMI 는 60.1을 기록했는데요. 이는 2000년 4월 이후 최고칩니다.이번 달 글로벌 이슈들 짚어드리겠습니다.우선 이번 주 이슈들 살펴보시면요. 현지시간 5일 유로존 3분기 GDP 결과가 나옵니다. 6일에는 브로드컴의 실적이 발표가 예정되어있고, 7일부터 9일까지는 독일 사민당의 정당대회가 치러집니다.12월 12일부터 13일 양일에 거쳐 올해 마지막 FOMC 회의가 개최됩니다. FOMC 의원들은 지난 11월 회의록을 통해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한 바 있습니다. WSJ 등 외신들 또한 옐런 의장이 청문회에 출석해 지난 2년간 4차례 금리를 올린 연준이 이번 달 기준금리를 0.25%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 한 바 있습니다.바로 다음날인 14일, ECB 통화정책회의가 개최됩니다. ECB는 지난 10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올 12월 종료 예정이던 자산 축소를 내년 9월까지로 연장 하되 채권 매입 규모는 12월 이후 절반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기존의 제로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블룸버그 통신은" ECB는 12월 회의를 거쳐 통화정책회의에서 향후 구체적인 자산매입 구성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 된다며 보다 진전된 논의는 내년 8월 이후에 이뤄질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과도하게 푼 유동성을 거둬들이는 작업을 시작한 미국과 유럽. 통화 긴축 출구를 향한 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모습입니다.다음으로 이번 달 중순 한중 정상회담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은 소원해진 두 나라 관계 회복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인데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방중합니다. 경제, 산업 협력, 문화 교류 등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 될 전망입니다. 또 중국과의 관계 개선으로 그 동안 부진했던 중국관련 소비주들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8일 시카고상품거래소가 비트코인 선물을 출시합니다.CME가 출시하는 비트코인 선물은 CME의 선물, 옵션 전자거래 플랫폼인 글로벡스에서 거래되며 현금 결제됩니다. 선물거래가 시작되면 비트코인 가격상승과 하락에 모두 배팅할 수 있게 됩니다.이혜수한국경제TV 핫뉴스ㆍ편의점 도시락 위생, 얼마나 끔찍하길래? 일부 제조업체 `거미줄·곰팡이까지`ㆍ채정안, 인형 몸매 화제 “착한 사람에게만 보여요”ㆍ이연복 집공개, 사위와 함께 사는 연희동 3층집 “펜션같아”ㆍ정은지, ‘테러범’은 한국계 미국인? 왜 못잡나 봤더니…ㆍ"박수진 `병원 특혜 논란`, 박수진보다 병원 측이 문제"ⓒ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