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새로운 표적에 주목하는 치매치료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타아밀로이드가 아닌 새로운 표적을 대상으로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들이 주목받고 있다.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접근 방법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벤처 아델은 타우 단백질의 변형(인산화)을 억제하는 개념의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과 함께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는 뇌 신경세포가 손상돼 기억력 감퇴와 인지기능 장애로 이어지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제도 없는 상황이다. 현재 치매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들은 뇌기능 개선제로 치료가 아닌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킨다.
베타아밀로이드는 지금까지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혀왔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서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한 치료제 후보물질들이 잇따라 임상에서 실패하면서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이 흔들리고 있다.
올 2월 다국적 제약사 머크는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 베루베세스타트의 임상 3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베루베세스타트는 치매 환자의 베타아밀로이드를 최대 90%까지 감소시켰지만, 저하된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없었다. 일라이일리도 2016년 11월 솔라네주맙의 3상을 포기했다. 솔라네주맙도 뇌 영상을 통해 베타아밀로이드의 제거를 확인했지만 인지기능을 회복시키지 못했다.
베타아밀로이드를 제거해 알츠하이머를 치료할 것이라고 기대 받던 주요 후보물질들이 잇따라 실패한 것이다. 이 때문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일 수 있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윤승용 아델 대표는 "베타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가 발병하기 20여년 전부터 뇌 안에서 증가해 병이 시작되는 시점에는 뇌에 꽉 차 있다"며 "알츠하이머가 발병하고 진행되는 20여년 동안 베타아밀로이드는 변화가 없지만 타우는 발병하기 조금 전부터 축적이 시작돼 말기까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고 말했다.
때문에 치료적 접근을 위해서는 베타아밀로이드보다는 타우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치매 진단에 있어서도 타우를 표적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봤다. 아델은 2년간 알츠하이머 치료 항체를 최적화해 전임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변형된 타우를 감지하는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키트도 개발할 예정이다.
뉴라클사이언스는 신경교흉터를 유발하는 단백질을 발굴해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신경교흉터는 신경에 생기는 흉터다. 신경세포가 손상됐을 때 상처 부위를 감싸 나머지 신경 조직을 보호한다. 그러나 적절한 시점에 신경교흉터가 사라지지 않으면 신경 재생이 불가능해진다. 뉴라클사이언스는 항체를 통해 신경교흉터의 생성을 막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 알츠하이머 증상을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치료제 후보물질의 생산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전임상 완료 후 2020년 글로벌 임상 진입이 목표다.
젬백스는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축적을 동시에 막는 것으로 확인된 'GV1001'을 가지고 국내 임상 2상 중이다. 줄기세포 치료제 기업인 차바이오텍과 메디포스트도 알츠하이머 극복에 도전하고 있다. 줄기세포의 신경세포 재생 기능을 이용해 각각 국내 1·2a상을 진행하고 있다.
김봉철 뉴라클사이언스 대표는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에 의한 신약개발은 20여년 동안 1만명을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됐지만 모두 실패했다"며 "단순히 베타아밀로이드를 막는 방법으로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표적과 기전을 찾는 연구들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벤처 아델은 타우 단백질의 변형(인산화)을 억제하는 개념의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과 함께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는 뇌 신경세포가 손상돼 기억력 감퇴와 인지기능 장애로 이어지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제도 없는 상황이다. 현재 치매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들은 뇌기능 개선제로 치료가 아닌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킨다.
베타아밀로이드는 지금까지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혀왔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서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한 치료제 후보물질들이 잇따라 임상에서 실패하면서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이 흔들리고 있다.
올 2월 다국적 제약사 머크는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 베루베세스타트의 임상 3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베루베세스타트는 치매 환자의 베타아밀로이드를 최대 90%까지 감소시켰지만, 저하된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없었다. 일라이일리도 2016년 11월 솔라네주맙의 3상을 포기했다. 솔라네주맙도 뇌 영상을 통해 베타아밀로이드의 제거를 확인했지만 인지기능을 회복시키지 못했다.
베타아밀로이드를 제거해 알츠하이머를 치료할 것이라고 기대 받던 주요 후보물질들이 잇따라 실패한 것이다. 이 때문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일 수 있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윤승용 아델 대표는 "베타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가 발병하기 20여년 전부터 뇌 안에서 증가해 병이 시작되는 시점에는 뇌에 꽉 차 있다"며 "알츠하이머가 발병하고 진행되는 20여년 동안 베타아밀로이드는 변화가 없지만 타우는 발병하기 조금 전부터 축적이 시작돼 말기까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고 말했다.
때문에 치료적 접근을 위해서는 베타아밀로이드보다는 타우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치매 진단에 있어서도 타우를 표적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봤다. 아델은 2년간 알츠하이머 치료 항체를 최적화해 전임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변형된 타우를 감지하는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키트도 개발할 예정이다.
뉴라클사이언스는 신경교흉터를 유발하는 단백질을 발굴해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신경교흉터는 신경에 생기는 흉터다. 신경세포가 손상됐을 때 상처 부위를 감싸 나머지 신경 조직을 보호한다. 그러나 적절한 시점에 신경교흉터가 사라지지 않으면 신경 재생이 불가능해진다. 뉴라클사이언스는 항체를 통해 신경교흉터의 생성을 막고 신경세포의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 알츠하이머 증상을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치료제 후보물질의 생산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전임상 완료 후 2020년 글로벌 임상 진입이 목표다.
젬백스는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축적을 동시에 막는 것으로 확인된 'GV1001'을 가지고 국내 임상 2상 중이다. 줄기세포 치료제 기업인 차바이오텍과 메디포스트도 알츠하이머 극복에 도전하고 있다. 줄기세포의 신경세포 재생 기능을 이용해 각각 국내 1·2a상을 진행하고 있다.
김봉철 뉴라클사이언스 대표는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에 의한 신약개발은 20여년 동안 1만명을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됐지만 모두 실패했다"며 "단순히 베타아밀로이드를 막는 방법으로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표적과 기전을 찾는 연구들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