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명 중 1명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전세가 보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명 중 1명은 내년 상반기 주택 시장의 매매가격과 전셋값을 '보합'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가 지난 11월 6~24일 전국 721명을 대상으로 '2018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해 5일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응답자의 57.28%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보합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 하반기 전망 조사(직전 조사)에서 보합 응답이 37.70%였던 것과 비교하면 2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전셋값 전망도 '보합'(53.81%)에 대한 응답 비중이 직전 조사(35.60%)보다 18.21%포인트 늘어나며 응답자의 절반을 넘었다.
올 하반기 정부가 발표한 8·2 대책 등 각종 부동산 규제의 영향으로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관망 심리'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상승'과 '하락'에 대한 전망은 상대적으로 팽팽히 맞섰다.
특히 2017년 하반기 전망 조사보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전망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한(46.3%→18.72%)한 반면, 하락 전망은 증가해(16.0%→23.99%) 내년 상반기 시장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나타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소비자는 '대출 규제 및 금리 상승'(39.31%)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한국은행은 11월 30일 금리 인상을 단행했으며, 내년부터는 신(新) DTI(총부채상환비율)와 DSR(총체적상환능력비율) 등 각종 대출 규제가 예정돼 있다.
다음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매매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은 '입주 등 주택공급 과잉'(21.97%), '정부의 각종 규제 정책'(17.92%)이었다.
반면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 전망한 수요자들은 '서울 강남 재건축 상승'(29.63%), '실수요자 매매전환'(25.19%), '국내 경기 회복 전망'(22.96%)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서울 강남 재건축을 중심으로 정부의 규제 정책이 집중되고 있지만 각종 제도 시행을 앞두고 '투자수요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 정부가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재편을 발표하면서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 무주택 실수요자들에게 정책 혜택이 집중되고 있다. 전셋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수요자들의 절반은 '매수심리 위축으로 인한 전세 거주'(43.65%)를 이유로 들었다.
최근 1~2년 사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한 만큼 가격 부담으로 전세 거주를 통해 대기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전세물건 공급 부족'(17.13%), '분양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15.47%)도 전셋값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전셋값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수요자들은 '입주물량과 미분양 증가'(64.47%)와 '매매가격 약세로 전셋값 조정'(13.82%) 등을 이유로 꼽았다. 정부가 하반기 발표한 각종 부동산 대책 중 2018년에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 제도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20.11%)였다.
8·2 대책을 통해 2018년 4월 시행을 예고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는 현행 양도소득세 기본세율 6~40%에 10~20%포인트를 추가 과세하는 내용이다.
서울 전역을 비롯해 전국 40여 곳의 조정대상지역에서 다주택자가 보유주택을 팔 경우 2주택자는 10%포인트, 3주택자 이상은 20%포인트가 추가 중과된다.
또한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 추가 지정'(19.14%)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선택됐다.
2012년 이후 6년 만에 부활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은 지정과 동시에 14개 이상의 규제 패키지가 시행됐다.
그밖에 ▲ 신DTI 시행(16.50%) ▲ DSR 시행(12.62%) ▲ 중도금 대출 보증요건 강화 및 보증비율 축소(9.85%) 등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과 관련된 내용도 응답 비중이 컸다. /연합뉴스
부동산114가 지난 11월 6~24일 전국 721명을 대상으로 '2018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해 5일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응답자의 57.28%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보합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 하반기 전망 조사(직전 조사)에서 보합 응답이 37.70%였던 것과 비교하면 2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전셋값 전망도 '보합'(53.81%)에 대한 응답 비중이 직전 조사(35.60%)보다 18.21%포인트 늘어나며 응답자의 절반을 넘었다.
올 하반기 정부가 발표한 8·2 대책 등 각종 부동산 규제의 영향으로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관망 심리'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상승'과 '하락'에 대한 전망은 상대적으로 팽팽히 맞섰다.
특히 2017년 하반기 전망 조사보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전망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한(46.3%→18.72%)한 반면, 하락 전망은 증가해(16.0%→23.99%) 내년 상반기 시장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나타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소비자는 '대출 규제 및 금리 상승'(39.31%)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한국은행은 11월 30일 금리 인상을 단행했으며, 내년부터는 신(新) DTI(총부채상환비율)와 DSR(총체적상환능력비율) 등 각종 대출 규제가 예정돼 있다.
다음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매매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은 '입주 등 주택공급 과잉'(21.97%), '정부의 각종 규제 정책'(17.92%)이었다.
반면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 전망한 수요자들은 '서울 강남 재건축 상승'(29.63%), '실수요자 매매전환'(25.19%), '국내 경기 회복 전망'(22.96%)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서울 강남 재건축을 중심으로 정부의 규제 정책이 집중되고 있지만 각종 제도 시행을 앞두고 '투자수요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 정부가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재편을 발표하면서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 무주택 실수요자들에게 정책 혜택이 집중되고 있다. 전셋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수요자들의 절반은 '매수심리 위축으로 인한 전세 거주'(43.65%)를 이유로 들었다.
최근 1~2년 사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한 만큼 가격 부담으로 전세 거주를 통해 대기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전세물건 공급 부족'(17.13%), '분양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15.47%)도 전셋값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전셋값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수요자들은 '입주물량과 미분양 증가'(64.47%)와 '매매가격 약세로 전셋값 조정'(13.82%) 등을 이유로 꼽았다. 정부가 하반기 발표한 각종 부동산 대책 중 2018년에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 제도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20.11%)였다.
8·2 대책을 통해 2018년 4월 시행을 예고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는 현행 양도소득세 기본세율 6~40%에 10~20%포인트를 추가 과세하는 내용이다.
서울 전역을 비롯해 전국 40여 곳의 조정대상지역에서 다주택자가 보유주택을 팔 경우 2주택자는 10%포인트, 3주택자 이상은 20%포인트가 추가 중과된다.
또한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 추가 지정'(19.14%)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선택됐다.
2012년 이후 6년 만에 부활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은 지정과 동시에 14개 이상의 규제 패키지가 시행됐다.
그밖에 ▲ 신DTI 시행(16.50%) ▲ DSR 시행(12.62%) ▲ 중도금 대출 보증요건 강화 및 보증비율 축소(9.85%) 등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과 관련된 내용도 응답 비중이 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