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상단> 코스닥 활성화 `갈지자` 행보투자자 혼선만 `가중`<앵커>모험자본 육성을 위한 금융당국의 코스닥 활성화 대책이 이르면 이달말 발표될 예정입니다.기대 못지 않게 우려감 역시도 적지 않은게 사실인데요, 정경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기자>코스닥 활성화 대책의 관심 포인트 중 하나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 확대 여부입니다.현재 전체 자산의 2% 수준인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비중을 10%로 확대한다는 것인데, 벌써부터 마찰음이 나오고 있습니다.코스닥과 코스피 종목을 섞은 대표 연기금 벤치마크 지수를 개발해 투자 확대를 유도하겠다는게 금융당국의 입장이지만 수익률 못지 않게 자금 운용의 안정성도 따져야 하는 국민연금 입장이 서로 배치되는 것입니다.금융당국의 코스닥 활성화 대책의 또 다른 핵심 포인트인 코스닥 투자자 등에 대한 세제혜택도 실제 반영 여부는 현재로선 미지수입니다.[인터뷰] 정책당국관계자"(코스닥 장기투자 세액공제제도 등 세제문제는) 세제실이 되게 불편해 하고 있다. 세제쪽은 기재부가 발표하는게 맞다"이처럼 금융당국의 방향이 오락가락하면서 투자자 역시도 혼란이 일고 있는데, 실제 국민연금과의 입장차가 드러나면서 코스닥시장이 한때 출렁이기도 했습니다.그러나 더 큰 문제는 잔뜩 기대감을 부풀려 놓은 상황에서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대책이 발표됐을 때 시장의 충격입니다.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세제혜택 등은 코스닥 시장 활성화의 큰 부분인데,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적잖은 우려감을 내보였습니다.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코스닥 상장요건 전반에 대한 재검토도 진행하고 있는데, 실제 얼마만큼의 실효성이 있는 대책이 담길지는 역시 의문입니다.미국 나스닥을 벤치마크해 매출이나 시가총액 등 하나의 요건만 충족해도 코스닥 상장이 가능하도록 성장성 위주로 상장요건 전반을 재정비하겠다는 것인데, 성장성 판단에 대한 기준 마련이나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도 제대로 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한편, 금융당국은 이달말 기획재정부의 내년도 경제정책방향 발표 직후 코스닥 시장 활성화 대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한국경제TV 정경준 입니다.정경준기자 jkj@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서현진 결혼, 100일만에 마음 빼앗긴 ‘훈남 의사남편’ 공개 ㆍ채정안, 인형 몸매 화제 “착한 사람에게만 보여요”ㆍ이연복 집공개, 사위와 함께 사는 연희동 3층집 “펜션같아”ㆍ정은지, ‘테러범’은 한국계 미국인? 왜 못잡나 봤더니…ㆍ"박수진 `병원 특혜 논란`, 박수진보다 병원 측이 문제"ⓒ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