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지는 트램·트랜짓몰… 위례신도시 '울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완공 예정이었지만 4~6년 뒤로 미뤄져
대중교통 부족해 주민 불편
상가 투자자는 공실 장기화
대중교통 부족해 주민 불편
상가 투자자는 공실 장기화
![위례신도시에 조성될 트랜짓몰(대중교통전용지구) 조감도.](https://img.hankyung.com/photo/201712/AA.15371271.1.jpg)
![늦어지는 트램·트랜짓몰… 위례신도시 '울상'](https://img.hankyung.com/photo/201712/AA.15372639.1.jpg)
당시 트램의 착공 시기는 2015년이었고 준공 예정 시기는 2017년이었다. 2014년 5월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확정할 때 역시 원안을 유지했다. 사업비 1800억원 중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1080억원을 부담하고 나머지는 민간 사업자가 맡아 2021년 완공한다는 것이다.
완공 시기가 당초보다 4년 늦춰졌다. 지난해 이후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에서 트램의 민자적격성을 심의 중이다. 적격성 조사가 완료되더라도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 심의, 제3자 공고를 통한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실시협약 체결, 실시계획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착공에 들어갈 수 있다. 업계에서는 완공 시기가 당초보다 1~2년 늦춰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트램 건설 지연으로 위례신도시 거주자나 트램 주변 상업시설 임차인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이다. 위례신도시에는 2만6000여 가구가 입주해 있지만 버스를 제외한 대중교통은 전무한 상황이다.
LH 개발 청사진만 믿고 투자한 상업시설 분양자들은 공실 장기화와 임대료 하락 등 자산가치 손실을 겪고 있다. 트램로 주변에는 3600여 개의 점포(연면적 35만7400㎡)가 있다. 트램 공사가 시작되더라도 공사 기간 트램 주변 상업시설은 2차적인 영업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크다.
거주자들은 트램 부지에 그늘막과 나무 쉼터를 조성하고 벤치 등을 설치해 공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트랜짓몰 내 상업시설과 연계한 다양한 이벤트를 열고 트램 준공 전까지 내부 순환용 트롤리(전력을 공급받아 달리는 전차의 일종)를 운영하는 등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상업시설 관계자는 “서울시와 LH가 트램과 트랜짓몰 조성을 늦추면서 입주민과 상가 분양자만 손해를 입게 됐다”며 “준공 전까지 임시 활성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