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절반 이상이 '과대평가'
11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신용평가를 받은 은행 증권 보험 카드 등 금융회사 99곳(금융공기업은 제외) 가운데 계열사 지원 가능성을 반영한 최종 신용등급이 자체신용도보다 한 단계 이상 상향 조정된 기업은 65곳에 달했다. 이 가운데 제주은행, 하나자산신탁,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한국씨티은행, 우리종합금융, 한국해양보증보험 6곳은 국내 또는 해외 현지 모회사의 뛰어난 신용에 힘입어 등급이 두 단계나 오르는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4곳은 최종 등급과 자체신용도가 같았다.
다른 신용평가사들의 분석 결과도 비슷했다.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가 매긴 금융회사 신용등급의 3분의 2 이상이 계열사 ‘후광 효과’로 자체신용도보다 올라갔다.
신용평가사들은 내년부터 자체신용도 공개 범위를 공기업을 제외한 일반기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들은 현재도 모든 평가 대상 기업의 자체신용도를 먼저 평가한 뒤 여기에 유사 시 계열사 지원 가능성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최종 신용등급을 매기지만 따로 공개는 하지 않고 있다. 일부 기업들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을 우려해서다. 가령 최종 신용등급이 ‘A-’인데 자체신용도가 ‘BBB+’인 기업의 경우 기관투자가의 투자판단 경계선에 걸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다. 정광호 나이스신용평가 평가정책본부장은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투자심의위원회에서 자체신용도가 낮은 기업 투자시 더 깐깐한 기준을 들이댈 수 있다”고 말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