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중국 서민식당에서 방문 이틀째 일정 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을 국빈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중국 베이징의 한 서민 식당을 찾으면서 순방 이틀째를 시작했다.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이날 조식을 한 곳은 숙고인 댜오위타이(조어대) 인근의 전통 중국 조식 전문점 ‘용허센장’이다. 문 대통령과 김 여사는 1996년에 문을 연 이곳에서 중국인들이 아침메뉴로 즐겨먹는 유탸오와 더우장으로 식사를 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유탸오는 밀가루를 막대 모양으로 빚어 기름에 튀긴 꽈배기 모양의 빵으로 겉은 바삭하고 속은 말랑한 식감이 특징이다. 중국식 두유인 더우장에 적셔서 먹는 중국 일반 시민의 대표적인 아침 식사다.
청와대는“문 대통령 내외는 베이징 시민 사이에서 식사하고 담소를 나누는 등 중국 서민들의 아침 일상을 잠시나마 체험함으로써 마음으로 중국인들에게 다가갈 기회를 가졌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식사를 마친 뒤 중국에서 일상화된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음식값을 치르며 날로 발전하는 중국의 핀테크 산업도 직접 체험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중국은 쇼핑·교통 등 모든 영역에서 모바일 결제 시스템 이용이 일상화돼 있으며, 노점에서 파는 1위안(한화 약 160원)짜리 간식 등도 모바일로 결제할 수 있다.
베이징=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이날 조식을 한 곳은 숙고인 댜오위타이(조어대) 인근의 전통 중국 조식 전문점 ‘용허센장’이다. 문 대통령과 김 여사는 1996년에 문을 연 이곳에서 중국인들이 아침메뉴로 즐겨먹는 유탸오와 더우장으로 식사를 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유탸오는 밀가루를 막대 모양으로 빚어 기름에 튀긴 꽈배기 모양의 빵으로 겉은 바삭하고 속은 말랑한 식감이 특징이다. 중국식 두유인 더우장에 적셔서 먹는 중국 일반 시민의 대표적인 아침 식사다.
청와대는“문 대통령 내외는 베이징 시민 사이에서 식사하고 담소를 나누는 등 중국 서민들의 아침 일상을 잠시나마 체험함으로써 마음으로 중국인들에게 다가갈 기회를 가졌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식사를 마친 뒤 중국에서 일상화된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음식값을 치르며 날로 발전하는 중국의 핀테크 산업도 직접 체험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중국은 쇼핑·교통 등 모든 영역에서 모바일 결제 시스템 이용이 일상화돼 있으며, 노점에서 파는 1위안(한화 약 160원)짜리 간식 등도 모바일로 결제할 수 있다.
베이징=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