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보수 안 받는 '로봇' 부상… 설 자리 잃는 펀드매니저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보수 사상 최저 0%대로
액티브펀드 수익률 부진에 투자자들 ETF로 갈아타
운용업계는 수수료 인하 경쟁
인건비 적은 로봇펀드 잇따라
대신운용, 성과보수만 받기로
액티브펀드 수익률 부진에 투자자들 ETF로 갈아타
운용업계는 수수료 인하 경쟁
인건비 적은 로봇펀드 잇따라
대신운용, 성과보수만 받기로
자산운용업계에 수수료 인하 경쟁이 시작된 건 하루 이틀 된 얘기가 아니다. 하지만 최근엔 그 ‘바람’이 더욱 거세게 불고 있다. 펀드매니저의 운용 역량에 따라 수익률이 좌우되는 액티브 주식형펀드 중 상당수가 부진한 성과를 냄에 따라 ‘수수료를 아껴 수익률을 높여 보자’는 인식이 투자자들 사이에 확산된 영향이다.
운용업계도 이 같은 투자자들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수수료를 낮춘 다양한 펀드들을 내놓고 있다. 액티브 주식형 펀드에 비해 인건비가 덜 드는 로보어드바이저(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투자자문 서비스) 펀드 중에선 ‘운용보수 0원’인 상품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총보수 사상 처음 1% 아래로
1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자산운용업계의 국내 주식형펀드 평균 운용보수는 연 0.406%다. 지금은 이 수치가 연 0.3%대로 떨어졌을 것으로 자산운용업계는 추정한다. 2010년 말 연 0.650%이던 평균 운용보수는 7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운용보수란 펀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굴려주는 대가로 자산운용사가 가져가는 수수료다.
은행·증권사 등이 펀드를 팔면서 떼어가는 판매보수는 따로 있다. 운용보수와 판매보수를 합한 총비용은 사상 처음으로 0%대로 하락했다. 국내 주식형펀드의 10월 말 기준 총비용은 연 0.92%로, 올 들어 0.13%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자산운용업계에서 보수 인하 경쟁을 주도하는 건 상장지수펀드(ETF)다. 한화자산운용은 ‘ARIRANG200’ ETF의 총보수를 지난달에 종전 연 0.14%에서 연 0.04%로 인하했다. 국내 상장된 ETF 가운데 가장 낮다.
1000억원의 펀드를 굴려도 운용사가 가져가는 몫은 직원 한 명의 인건비에도 못 미치는 4000만원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올해 한화자산운용을 포함해 KB자산운용과 키움자산운용 등 세 곳이 ETF 보수를 낮췄다.
◆수수료 0원 공모펀드도 줄이어
투자자들이 펀드에 가입할 때 운용보수를 받지 않는 대신 성과가 나면 이 중 일부를 가져가겠다는 펀드들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들이 대표적이다. 대신자산운용은 로보어드바이저 펀드인 ‘대신로보어드바이저 자산배분성과보수’를 출시하면서 운용보수를 받지 않는 대신 수익의 10%를 성과보수로 가져가기로 했다.
펀드에서 마이너스 수익이 날 경우 한 푼도 가져가지 않는다. 판매사와 협의해 판매보수도 업계 최저 수준인 0.1%로 낮췄다. 조윤남 대신자산운용 마케팅·운용총괄 전무는 “1억원을 30년 동안 투자하는데 연평균 4%의 수익률을 낸다고 가정할 경우 수수료를 1%포인트씩만 아껴도 8000만원의 수익을 더 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며 “공모펀드 수익률이 부진하기 때문에 투자자들로선 수수료라도 아껴 추가 수익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로보어드바이저 펀드인 ‘에셋플러스알파로보글로벌그로스성과보수’도 운용보수를 받지 않는 대신 성과에 대해서만 보수를 받고 있다. ‘미래에셋AI스마트베타’ 펀드는 연 0.2%의 운용보수만 받는다. 수익률도 양호하다. 최근 3개월 동안 미래에셋AI스마트베타와 대신로보어드바이저 자산배분성과보수 펀드는 각각 5.59%와 3.80% 수익을 올렸다.
◆저수수료 펀드로 넘어간 주도권
자산운용업계에선 올 들어 펀드 시장 주도권이 보수가 비싼 액티브펀드에서 싼 패시브펀드로 완전히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제공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액티브 주식형펀드 전체(533개) 설정액은 25조2738억원으로 23.94% 감소했다. 15일 기준 인덱스 주식형펀드 전체(286개) 설정액은 16조8777억원으로 13.22% 증가했다.
아직 투자 규모가 미미한 로보어드바이저 펀드가 대중화될 경우 주도권이 또 한번 넘어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인공지능이 운용을 주도하는 로보어드바이저는 이론적으론 펀드매니저를 한 명도 쓰지 않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인덱스펀드보다 더 낮출 수 있다.
운용업계에서 최근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가장 강하게 밀고 있는 대신자산운용의 설정액은 작년 말 5조844억원에서 15일 5조5848억원으로 9.84% 늘어났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총보수 사상 처음 1% 아래로
1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자산운용업계의 국내 주식형펀드 평균 운용보수는 연 0.406%다. 지금은 이 수치가 연 0.3%대로 떨어졌을 것으로 자산운용업계는 추정한다. 2010년 말 연 0.650%이던 평균 운용보수는 7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운용보수란 펀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굴려주는 대가로 자산운용사가 가져가는 수수료다.
은행·증권사 등이 펀드를 팔면서 떼어가는 판매보수는 따로 있다. 운용보수와 판매보수를 합한 총비용은 사상 처음으로 0%대로 하락했다. 국내 주식형펀드의 10월 말 기준 총비용은 연 0.92%로, 올 들어 0.13%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자산운용업계에서 보수 인하 경쟁을 주도하는 건 상장지수펀드(ETF)다. 한화자산운용은 ‘ARIRANG200’ ETF의 총보수를 지난달에 종전 연 0.14%에서 연 0.04%로 인하했다. 국내 상장된 ETF 가운데 가장 낮다.
1000억원의 펀드를 굴려도 운용사가 가져가는 몫은 직원 한 명의 인건비에도 못 미치는 4000만원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올해 한화자산운용을 포함해 KB자산운용과 키움자산운용 등 세 곳이 ETF 보수를 낮췄다.
◆수수료 0원 공모펀드도 줄이어
투자자들이 펀드에 가입할 때 운용보수를 받지 않는 대신 성과가 나면 이 중 일부를 가져가겠다는 펀드들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들이 대표적이다. 대신자산운용은 로보어드바이저 펀드인 ‘대신로보어드바이저 자산배분성과보수’를 출시하면서 운용보수를 받지 않는 대신 수익의 10%를 성과보수로 가져가기로 했다.
펀드에서 마이너스 수익이 날 경우 한 푼도 가져가지 않는다. 판매사와 협의해 판매보수도 업계 최저 수준인 0.1%로 낮췄다. 조윤남 대신자산운용 마케팅·운용총괄 전무는 “1억원을 30년 동안 투자하는데 연평균 4%의 수익률을 낸다고 가정할 경우 수수료를 1%포인트씩만 아껴도 8000만원의 수익을 더 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며 “공모펀드 수익률이 부진하기 때문에 투자자들로선 수수료라도 아껴 추가 수익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로보어드바이저 펀드인 ‘에셋플러스알파로보글로벌그로스성과보수’도 운용보수를 받지 않는 대신 성과에 대해서만 보수를 받고 있다. ‘미래에셋AI스마트베타’ 펀드는 연 0.2%의 운용보수만 받는다. 수익률도 양호하다. 최근 3개월 동안 미래에셋AI스마트베타와 대신로보어드바이저 자산배분성과보수 펀드는 각각 5.59%와 3.80% 수익을 올렸다.
◆저수수료 펀드로 넘어간 주도권
자산운용업계에선 올 들어 펀드 시장 주도권이 보수가 비싼 액티브펀드에서 싼 패시브펀드로 완전히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제공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액티브 주식형펀드 전체(533개) 설정액은 25조2738억원으로 23.94% 감소했다. 15일 기준 인덱스 주식형펀드 전체(286개) 설정액은 16조8777억원으로 13.22% 증가했다.
아직 투자 규모가 미미한 로보어드바이저 펀드가 대중화될 경우 주도권이 또 한번 넘어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인공지능이 운용을 주도하는 로보어드바이저는 이론적으론 펀드매니저를 한 명도 쓰지 않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인덱스펀드보다 더 낮출 수 있다.
운용업계에서 최근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가장 강하게 밀고 있는 대신자산운용의 설정액은 작년 말 5조844억원에서 15일 5조5848억원으로 9.84% 늘어났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