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추진한 보험료 카드 납부 확대 방안이 보험업계와 카드업계 간 견해 차이로 무산됐다. 금감원은 카드 수수료율을 재산정하는 내년 하반기에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최흥식 금감원장 직속 자문기구인 ‘금융소비자 권익 제고 자문위원회’는 최근 보험료 카드 결제 확대 방안을 자문위 권고안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자문위는 지난 9월 출범하면서 보험료 카드 결제 확대 방안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으나 더 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업계 및 카드업계와 협의체를 구성해 8차례에 걸쳐 논의했으나 두 업계 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전했다.

양 업계가 정면 충돌한 분야는 카드 수수료율이었다. 현재 보험업계는 고객이 보험료를 카드로 결제하면 수수료로 결제금액의 2.2~2.3%를 카드업계에 내고 있다. 보험업계는 카드 결제를 확대하려면 수수료율을 1% 수준으로 내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카드업계는 이에 대해 수수료를 원가 이하로 낮추라는 것이라며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섰다. 카드업계는 최대 인하 여력이 0.2~0.3%포인트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보험료 카드 납부가 시작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다. 하지만 보험업계는 수수료 부담 때문에 카드 납부 확대를 꺼려왔다. 이 때문에 지난해 카드 납부 보험료 비중은 9.7%에 그쳤다.

박신영/김순신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