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항공정비 사업자로 최종 선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정부가 지원하는 항공정비(MRO)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8일 민·관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MRO 사업계획 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토대로 KAI를 정부 지원 MRO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MRO 사업은 당초 충북 청주에 기반을 마련하려던 아시아나항공을 포함해 지방도시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으나 결국 KAI와 경남 사천시 컨소시엄만 평가위 심사를 받았다.
평가위는 KAI가 MRO 사업을 추진할 기반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우선 항공기 제조사로 MRO를 위한 시설, 장비 보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용지 저리 임대 등 조건이 충분한 데다 군용기 정비경험과 B737 항공기 개조 경험도 있어 민·군 항공기 정비업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또 MRO 사업지로 정한 경남 사천 인근에는 항공우주산업단지가 있고 항공 관련 협력업체 60여 개가 입주해 있어 MRO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입지도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국내 항공정비 수요(2016년 기준)는 약 1조9000억원에 달하지만 이 중 48.6%(9400억원)를 해외에 맡기고 있다. 국토부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적 항공기 정비의 내수 전환과 국내 MRO 산업 육성을 위해 3단계 추진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1단계로 MRO 자립기반 확충을 위해 법제 정비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고, 이번에 2단계로 MRO 사업자를 선정해 전략산업 육성에 나선다. 3단계는 해외시장 진출이다. KAI는 내년 3월 한국공항공사, 참여업체 등과 함께 MRO 전문기업을 설립하고, 10월 사업 준비를 모두 마칠 계획이다. 내년 11월 국토부로부터 정비조직 인증을 받아 12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국토부는 KAI가 제출한 사업계획대로 2026년이면 순이익이 나고 2만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직·간접 고용인원이 5600여명, 기계·판금·부품제조 등 관련 협력업체 고용이 1만4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수입 대체 1조6800억원, 생산 유발 5조4000억원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됐다. 항공기 정비의 국내 전환으로 항공업계가 절감하는 기회비용도 연간 44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국토교통부는 지난 18일 민·관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MRO 사업계획 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토대로 KAI를 정부 지원 MRO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MRO 사업은 당초 충북 청주에 기반을 마련하려던 아시아나항공을 포함해 지방도시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으나 결국 KAI와 경남 사천시 컨소시엄만 평가위 심사를 받았다.
평가위는 KAI가 MRO 사업을 추진할 기반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우선 항공기 제조사로 MRO를 위한 시설, 장비 보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용지 저리 임대 등 조건이 충분한 데다 군용기 정비경험과 B737 항공기 개조 경험도 있어 민·군 항공기 정비업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또 MRO 사업지로 정한 경남 사천 인근에는 항공우주산업단지가 있고 항공 관련 협력업체 60여 개가 입주해 있어 MRO 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입지도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국내 항공정비 수요(2016년 기준)는 약 1조9000억원에 달하지만 이 중 48.6%(9400억원)를 해외에 맡기고 있다. 국토부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적 항공기 정비의 내수 전환과 국내 MRO 산업 육성을 위해 3단계 추진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1단계로 MRO 자립기반 확충을 위해 법제 정비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고, 이번에 2단계로 MRO 사업자를 선정해 전략산업 육성에 나선다. 3단계는 해외시장 진출이다. KAI는 내년 3월 한국공항공사, 참여업체 등과 함께 MRO 전문기업을 설립하고, 10월 사업 준비를 모두 마칠 계획이다. 내년 11월 국토부로부터 정비조직 인증을 받아 12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국토부는 KAI가 제출한 사업계획대로 2026년이면 순이익이 나고 2만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직·간접 고용인원이 5600여명, 기계·판금·부품제조 등 관련 협력업체 고용이 1만4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수입 대체 1조6800억원, 생산 유발 5조4000억원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됐다. 항공기 정비의 국내 전환으로 항공업계가 절감하는 기회비용도 연간 44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