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패션계 '고군분투'… 내년 키워드는 '초고도 연결사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패션연구소 '2017년 패션 산업 10대 이슈 및 2018년 패션 시장 전망' 발표
올해 패션계는 불황 등 탓에 고군분투했으나, 내년에 서비스·감성의 경험으로 소비의 무게중심이 옮겨가면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브랜드 등 모든 것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는 이른바 '초고도 연결 사회'(하이퍼 커넥티드 소사이어티)가 키워드로 부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패션연구소는 올해 패션업계 10대 이슈와 내년도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21일 발표했다.
연구소는 가장 먼저 올해 탄핵정국과 내수경기 부진 등으로 패션업계가 '고군분투'했다고 꼽았다.
의류, 신발 등 패션 관련 지출 비중은 2013년을 정점으로 한 후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고, 전통 주요 패션 채널인 백화점 패션 매출 비중도 2012년 78.6%에서 2017년 3분기에는 70%대까지 하락했다.
국내 주요 패션 기업들은 매출 부진이나 영업이익률 하락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패션 업계 실적은 매우 좋지 않았다.
다음으로 '홈 플랫폼' 시대가 도래했다.
심리적인 안정과 휴식을 위한 나만의 공간을 찾고자 하는 트렌드가 강화되고 집 개념이 '소유' 대상에서 '거주·생활 공간'으로 변화했다.
이 때문에 패션계에서는 잠옷 등 주로 집에서 입는 아이템이 각광받았다.
'탕진잼'과 '스튜핏'이라는 이중적인 소비 규범이 또한 유행했다.
상반기에는 '소소하게 탕진하는 재미가 있다'는 의미의 '탕진잼'이 떠올라 가격이 저렴한 문구용품이나 생활용품을 구매하거나 인형 뽑기셥, 드러그스토어, 다이소 같은 저가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에 탐닉하는 이러한 소비 행태가 나타났다.
반면 하반기에는 팟캐스트 '김생민의 영수증'이 히트하면서 '스튜핏' 열풍이 불어 무분별한 소비에 반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줬다.
신규 오픈하는 복합쇼핑몰을 중심으로 패션보다 체험형 콘텐츠를 확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고객 경험'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패션 브랜드에서도 각종 라이프스타일 아이템을 활용해 브랜드 고유의 정체성과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매장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급변하는 정치 지형 속에서 쌓인 참여의 경험은 '의식 있는 소비자'들이 개인의 취향과 사상, 소신을 더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다.
패션계에서도 자신의 가치관이나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슬로건 패션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브랜드가 지향하는 가치나 평소의 사회공헌 활동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중요해졌다.
패션시장은 기존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온라인 패션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1% 상승한 약 10조원을 기록했고, 올해는 10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이미 9조 3천억원대 규모로 성장하며 작년동기에 비해 약 20%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대표적인 패션 유통 채널이던 백화점이 계속 부진에 빠졌고, 새로 개점하는 복합쇼핑몰 내 패션 매장 비중이 감소하는 등 패션 유통의 구조적인 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올해는 블로그나 인스타그램에서 운영되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마켓이 10대와 20대 젊은 층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한 해이기도 했다.
특히 온라인상의 파급력을 인정받아 영향력 있는 인기 인플루언서들을 모아 관리하는 전문 플랫폼 업체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의 오프라인 진출도 확대됐다.
1년 내내 유난히 히트 상품이 없었으나, 연말이 다가오면서 롱 패딩이 큰 인기를 끌었다.
지나치게 딱딱한 '포멀(정장) 코드'가 완화돼 남녀 모두에서 편안하게 실용적인 데다가 다양한 패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매너 슈트'가 등장했다.
전통(헤리티지) 기반 스트리트 무드가 확산하면서 정통 럭셔리브랜드 루이비통과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이 손잡는 등 각자에게 부족한 부분을 협업으로 메우려는 시도도 확산했다.
삼성패션연구소는 내년에 경기가 회복되면서 소비자들이 유형 상품에서 감성과 서비스 재화로 소비를 이동하는 '상품 이탈 시대'의 도래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 여정과 장소 등 서비스, 감성 경험으로 소비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패션 역시 소비자들의 높아진 안목을 반영해 차별화된 가치를 갖지 못하면 소비자들의 선택에서 밀려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지은 삼성패션연구소 그룹장은 "2018년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브랜드 등 모든 것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는 이른바 '초고도 연결 사회'(하이퍼 커넥티드 소사이어티)가 키워드로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올해 패션계는 불황 등 탓에 고군분투했으나, 내년에 서비스·감성의 경험으로 소비의 무게중심이 옮겨가면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브랜드 등 모든 것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는 이른바 '초고도 연결 사회'(하이퍼 커넥티드 소사이어티)가 키워드로 부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패션연구소는 올해 패션업계 10대 이슈와 내년도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21일 발표했다.
연구소는 가장 먼저 올해 탄핵정국과 내수경기 부진 등으로 패션업계가 '고군분투'했다고 꼽았다.
의류, 신발 등 패션 관련 지출 비중은 2013년을 정점으로 한 후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고, 전통 주요 패션 채널인 백화점 패션 매출 비중도 2012년 78.6%에서 2017년 3분기에는 70%대까지 하락했다.
국내 주요 패션 기업들은 매출 부진이나 영업이익률 하락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패션 업계 실적은 매우 좋지 않았다.
다음으로 '홈 플랫폼' 시대가 도래했다.
심리적인 안정과 휴식을 위한 나만의 공간을 찾고자 하는 트렌드가 강화되고 집 개념이 '소유' 대상에서 '거주·생활 공간'으로 변화했다.
이 때문에 패션계에서는 잠옷 등 주로 집에서 입는 아이템이 각광받았다.
'탕진잼'과 '스튜핏'이라는 이중적인 소비 규범이 또한 유행했다.
상반기에는 '소소하게 탕진하는 재미가 있다'는 의미의 '탕진잼'이 떠올라 가격이 저렴한 문구용품이나 생활용품을 구매하거나 인형 뽑기셥, 드러그스토어, 다이소 같은 저가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에 탐닉하는 이러한 소비 행태가 나타났다.
반면 하반기에는 팟캐스트 '김생민의 영수증'이 히트하면서 '스튜핏' 열풍이 불어 무분별한 소비에 반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줬다.
신규 오픈하는 복합쇼핑몰을 중심으로 패션보다 체험형 콘텐츠를 확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고객 경험'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패션 브랜드에서도 각종 라이프스타일 아이템을 활용해 브랜드 고유의 정체성과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매장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급변하는 정치 지형 속에서 쌓인 참여의 경험은 '의식 있는 소비자'들이 개인의 취향과 사상, 소신을 더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다.
패션계에서도 자신의 가치관이나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슬로건 패션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브랜드가 지향하는 가치나 평소의 사회공헌 활동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중요해졌다.
패션시장은 기존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온라인 패션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1% 상승한 약 10조원을 기록했고, 올해는 10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이미 9조 3천억원대 규모로 성장하며 작년동기에 비해 약 20%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대표적인 패션 유통 채널이던 백화점이 계속 부진에 빠졌고, 새로 개점하는 복합쇼핑몰 내 패션 매장 비중이 감소하는 등 패션 유통의 구조적인 변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올해는 블로그나 인스타그램에서 운영되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마켓이 10대와 20대 젊은 층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한 해이기도 했다.
특히 온라인상의 파급력을 인정받아 영향력 있는 인기 인플루언서들을 모아 관리하는 전문 플랫폼 업체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의 오프라인 진출도 확대됐다.
1년 내내 유난히 히트 상품이 없었으나, 연말이 다가오면서 롱 패딩이 큰 인기를 끌었다.
지나치게 딱딱한 '포멀(정장) 코드'가 완화돼 남녀 모두에서 편안하게 실용적인 데다가 다양한 패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매너 슈트'가 등장했다.
전통(헤리티지) 기반 스트리트 무드가 확산하면서 정통 럭셔리브랜드 루이비통과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이 손잡는 등 각자에게 부족한 부분을 협업으로 메우려는 시도도 확산했다.
삼성패션연구소는 내년에 경기가 회복되면서 소비자들이 유형 상품에서 감성과 서비스 재화로 소비를 이동하는 '상품 이탈 시대'의 도래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 여정과 장소 등 서비스, 감성 경험으로 소비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패션 역시 소비자들의 높아진 안목을 반영해 차별화된 가치를 갖지 못하면 소비자들의 선택에서 밀려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지은 삼성패션연구소 그룹장은 "2018년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브랜드 등 모든 것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는 이른바 '초고도 연결 사회'(하이퍼 커넥티드 소사이어티)가 키워드로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