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이야기 : 김학주의 마켓 투자 키워드출연 : 김학주 / 한동대 교수-----------------------------------------1>2017년 증시는 여러가지 갈등과 우려로 시작했지만 비교적 선방을 한 것 같습니다.2018년도 금리인상에 대한 두려움은 남아 있는데 증시에 쇼크가 생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금리인상, 내년 증시 쇼크 가능성은?▶ 골드만삭스 " 모든 자산 동시 상승 `비정상`"▶ 구매력 높은 노년층의 자산 매수세 유효▶ 자산 가격 거품 이유, 정책보다 인구구조 변화▶ 자산 가격 하락 시 위험 자산 가격 폭락 가능성▶ 조정 크지 않을 것…주가 하락시 저점 매수 기회2>최근 반도체 관련주들은 조정을 받았습니다.일부 외국계 증권사들은 투자의견 하향조정 보고서도 냈는데요.팔아야 할까요? 아니면 저점매수의 기회로 삼아야 할까요?▶ 최근 반도체 조정, 매도 vs 저점 매수▶ 낸드 공급 과잉 / D램 수요 견조▶ 마이크론vs삼성전자, 가격 경쟁 완화▶ 中 반도체 본격 진출 시 가격 경쟁 가열▶ 빅 데이터 시대, 반도체 수요 증가 기대▶ 반도체 설비 증가, 소모품 수요 `안정적`▶ SUMCO (日)고품질 실리콘 웨이퍼 생산, 수요 대처력 화보3>최근 미국에서 통신망 중립성이 예상대로 폐지되면서 우리나라도 논란이 있습니다.통신업계에는 나쁜 이야기는 아닐 것 같고요.한편 5세대 통신망과 사물인터넷에 대한 기대도 있는데 구체화될 수 있을까요?▶ 내년 1월 서울 ITU총회…5G 글로벌 규격 확정▶ 자율자동차 시대 5G사업 본격화 전망▶ 월마트. 테슬라 전기차 트럭 구입 약속▶ 자율주행차 모멘텀 통신주 미반영…기대감 유효4>한국 바이오 업계는 티슈진의 기술이전 취소 issue로 떠들썩했는데요.미국에서는 약 가격을 너무 올려서 화제가 된 경우가 있더라고요. 어떤 사연입니까?▶ 美 Avondale Pharma社, 비타민 B군 가격 8배↑▶ 韓 건강심사평가원에서 효능 검토후 약가 확정▶ 美 제약사 횡포 제한하기 위한 민간 움직임▶ 민간 단체 PBM 영향력 확대한국경제TV 핫뉴스ㆍ"1시간 통화했는데 구조 안돼"...`골든타임 놓쳤다` ㆍ최진희, 식당 운영으로 인생 2막…‘마이웨이’서 근황 공개ㆍ이외수, 화천서 쫓겨나나…"허가없이 음료 판매 등 위법 사항多"ㆍ문희옥, 대표와 갑을관계? 아니면 은밀한 관계?ㆍ태양♥민효린 결혼, SNS에 올린 웨딩드레스 사진? "결혼 암시 글이었다니"ⓒ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