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드론 등 13개 분야서 일자리 55만개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기정통부, 혁신성장동력 선정
5년간 총 7조9600억 투자
5년간 총 7조9600억 투자
내년부터 금융, 통신, 교통 등 10개 주요 산업 분야별 공공·민간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전문센터가 순차적으로 설립된다. 2020년까지 ‘레벨 3’ 수준의 자율주행차가 고속도로를 달릴 수 있도록 자율차 관련 기술 개발과 스마트도로 인프라 확충도 추진된다.
정부는 지난 22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혁신성장동력으로는 빅데이터, 차세대통신,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드론(무인기), 맞춤형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가상증강현실, 지능형 로봇, 지능형 반도체, 첨단소재, 혁신 신약, 신재생에너지 등 13개 분야를 선정했다.
지난 정부의 19대 미래성장동력과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가운데 중복 영역을 정리하고 경제적 성과가 적은 분야를 제외해 13개 분야로 통합했다.
정부는 혁신성장동력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내년 1조5600억원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7조96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이번 대책으로 2025년께 55만 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산했다.
지능화 인프라 분야에선 2022년까지 10개 주요 산업별 빅데이터 전문센터가 설립된다. 각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공공·민간 빅데이터를 개방해 다른 산업과의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 AI 분야에선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중장기 기초연구 지원을 늘릴 예정이다. 이를 통해 미국 대비 74%의 기술 경쟁력 수준을 2022년까지 80%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스마트 이동체 분야에선 2022년 레벨 3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고속도로 운행을 위한 교통체계를 구축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차 기술이 상용화됐다. 레벨 2는 정해놓은 속도를 유지하면서 앞 차량이 속도를 늦추면 감속하고 차선 이탈도 스스로 감지해 막는 수준이다. 레벨 3은 맑은 날씨 등 제한적인 조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운전자는 필요하다.
정부는 이번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토대로 내년 3월까지 13개 분야별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정부는 지난 22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혁신성장동력으로는 빅데이터, 차세대통신,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드론(무인기), 맞춤형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가상증강현실, 지능형 로봇, 지능형 반도체, 첨단소재, 혁신 신약, 신재생에너지 등 13개 분야를 선정했다.
지난 정부의 19대 미래성장동력과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가운데 중복 영역을 정리하고 경제적 성과가 적은 분야를 제외해 13개 분야로 통합했다.
정부는 혁신성장동력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내년 1조5600억원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7조96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이번 대책으로 2025년께 55만 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산했다.
지능화 인프라 분야에선 2022년까지 10개 주요 산업별 빅데이터 전문센터가 설립된다. 각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공공·민간 빅데이터를 개방해 다른 산업과의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 AI 분야에선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중장기 기초연구 지원을 늘릴 예정이다. 이를 통해 미국 대비 74%의 기술 경쟁력 수준을 2022년까지 80%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스마트 이동체 분야에선 2022년 레벨 3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고속도로 운행을 위한 교통체계를 구축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차 기술이 상용화됐다. 레벨 2는 정해놓은 속도를 유지하면서 앞 차량이 속도를 늦추면 감속하고 차선 이탈도 스스로 감지해 막는 수준이다. 레벨 3은 맑은 날씨 등 제한적인 조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운전자는 필요하다.
정부는 이번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토대로 내년 3월까지 13개 분야별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