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는 육아부담 경감, 고령화에는 고령층 일자리가 우선"

국민 3명 중 2명은 내년 경제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일자리·소득주도 성장을 꼽았다.

저출산에는 육아 부담 경감을, 고령화에는 고령층 일자리 확충을 우선으로 처방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2018 경제] 국민 3명 중 2명 "일자리·소득주도 성장이 최우선"
정부는 27일 2018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이런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도 함께 내놨다.

설문조사는 일반 국민 1천명과 경제전문가 334명을 대상으로 내년 경제정책방향을 묻는 방식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진행했다.

국민 66.8%는 내년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일자리·소득주도 성장을 꼽았다.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중장기 대응이 46.0%였으며, 공정경제(32.3%), 거시경제 안정 관리(22.0%), 혁신성장(13.2%) 등이 뒤를 이었다.

전문가도 일자리·소득주도 성장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정책(59.7%)으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일반 국민이 가장 우선순위를 낮게 본 혁신성장(34.6%)을 2위로 뽑았으며, 중장기 대응(28.6%), 공정경제(18.6%), 거시경제 안정 관리(18.2%) 등이 뒤를 이었다.

일반 국민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우선 과제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 청년 일자리 창출(39.5%)을 꼽았다.

반면 전문가는 고용유발 투자(68.6%)가 가장 시급하다고 봤다.

가장 경감이 필요한 생계비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일반 국민의 46.7%는 주거비를 지목했다.

혁신성장 우선 과제로 전문가 37.1%는 과학기술 혁신을 꼽았다.

반면 일반 국민은 규제개선 등 제도혁신(42.2%)을 선택했다.

전문가와 일반 국민을 모두 합쳐 통계를 낸 결과(복수 응답), 혁신이 필요한 분야는 서비스산업(47.8%), 금융산업(46.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동차 등 주력산업(40.6%)도 혁신이 필요한 주요 분야로 꼽혔다.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저출산 문제 해결의 우선 과제를 물은 결과, 36.8%가 육아 부담 경감을 선택했다.

이어 일·가정 양립 문화(29.8%), 주거 지원 강화(16.4%) 등을 꼽았다.
[2018 경제] 국민 3명 중 2명 "일자리·소득주도 성장이 최우선"
역시 고령화 대응 우선 과제를 물어보니 고령층 일자리 확충이 45.3%를 기록해 가장 많았다.

국민연금 보장성 강화(19.5%), 저소득층 소득지원(18%)도 적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공정경제 확립을 위해서는 불공정 거래행위 근절(51.9%)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했다.

일반 시민은 대·중소기업 상생(28.9%)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전문가들의 정책제언을 빅데이터의 일종인 '워드 클라우드'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일자리'와 '기업'이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로 나타났다.

지난 7월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 때 설문과 비교하면 '대기업', '중소기업', '경쟁력' 언급 등이 늘어났다.

경쟁력 강화, 대·중소기업 상생 등 혁신성장과 공정경제 관심이 확대된 영향이라고 기획재정부는 풀이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