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간밤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대장주' 애플의 주가 하락이 악재가 됐다.

26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85포인트(0.03%) 하락한 2만4746.21,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지수는 2.84P(0.11%) 내린 2680.50,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3.71P(0.34%) 낮은 6936.25를 기록했다.

특히 아이폰X 판매 전망치를 축소했다는 보도가 나온 애플의 주가는 장 초반부터 약세를 보이며 2.5% 떨어져 올 8월 이후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전반적으로 개별 종목 주가 등락이 크지 않은 가운데 애플의 주가 움직임은 눈에 띄는 하락세"라고 진단했다.

애플 부품주인 마이크론테크놀러지 주가는 4.2%, 시러스로직과 브로드컴의 주가도 1.6%씩 빠지는 등 영향을 미쳤다.

연말 소비에 대한 기대 심리로 소매업체 주가는 상승했다. 메이시스 4.6%, JC페니 5.4%, 콜스 6.0%씩 올랐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혼조적이었다. 미국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관할 지역 제조업체들의 활동지수는 2006년 이후 최고치로 상승했다. 미국 집값(전미주택가격지수)은 전년 동기 대비 평균 6.2% 올라 임금 상승폭을 크게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12월 리치먼드 지역 제조업 활동(제조업지수)은 출하와 신규 수주 감소로 전월보다 하락했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증시가 이미 여러 차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데다 연말 연휴를 앞두고 있어 당분간 큰 폭의 변동성은 보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유가는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1.50달러(2.6%) 상승한 59.97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2015년 6월 이후 최고치다. 리비아 송유관 폭발 등으로 원유 공급 차질 우려가 부각된 영향을 받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