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 추가 인상, 속도 빠르지 않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통위 '2018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국내 경제 3% 안팎으로 견실한 성장 지속하겠지만
물가상승 압력 크지 않을듯
가계부채·외환 변동성 등 금융불균형 예의주시
국내 경제 3% 안팎으로 견실한 성장 지속하겠지만
물가상승 압력 크지 않을듯
가계부채·외환 변동성 등 금융불균형 예의주시
한국은행이 내년 기준금리 추가 인상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다만 인상 속도는 신중하게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경제 성장세가 예상을 웃돌겠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제시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을 의결했다. 한은은 “내년 국내 경제의 견실한 성장세가 지속되겠지만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내년 국내 경제는 3% 안팎의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을 웃돌면서 마이너스인 국내총생산(GDP) 갭이 플러스로 전환되는 시점이 지난 10월 전망 때 예상한 내년 하반기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GDP 갭(실질성장률-잠재성장률)이 플러스면 실제 경제활동이 국가 경제의 기초체력상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말이다. 성장 전망만 놓고 보면 내년 상반기 추가 금리 인상 여력이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한은은 인상 속도와 관련,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시장 참여자들은 “한은이 초(超)저금리 시대에는 종지부를 찍었지만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은은 지난달 말 6년5개월 만에 통화정책 방향을 ‘긴축’으로 틀고 연 1.25%이던 금리를 연 1.50%로 인상했다.
금융안정에 대한 경계심도 한층 높였다. “가계부채 누증으로 소비와 성장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는 점을 고려해 경계심을 갖고 통화정책을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2%)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지난달 말 금리를 인상한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금융불균형 누적이었다. 이 때문에 내년에도 가계부채 증가세가 계속되고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등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되면 추가 금리 인상을 적극 고려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좀체 오르지 않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 물가안정목표제 개선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3년 주기인 물가안정목표제를 선진국처럼 점검 주기를 없애거나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을 의결했다. 한은은 “내년 국내 경제의 견실한 성장세가 지속되겠지만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내년 국내 경제는 3% 안팎의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을 웃돌면서 마이너스인 국내총생산(GDP) 갭이 플러스로 전환되는 시점이 지난 10월 전망 때 예상한 내년 하반기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GDP 갭(실질성장률-잠재성장률)이 플러스면 실제 경제활동이 국가 경제의 기초체력상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말이다. 성장 전망만 놓고 보면 내년 상반기 추가 금리 인상 여력이 있다는 의미기도 하다.
한은은 인상 속도와 관련,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시장 참여자들은 “한은이 초(超)저금리 시대에는 종지부를 찍었지만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은은 지난달 말 6년5개월 만에 통화정책 방향을 ‘긴축’으로 틀고 연 1.25%이던 금리를 연 1.50%로 인상했다.
금융안정에 대한 경계심도 한층 높였다. “가계부채 누증으로 소비와 성장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는 점을 고려해 경계심을 갖고 통화정책을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2%)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지난달 말 금리를 인상한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금융불균형 누적이었다. 이 때문에 내년에도 가계부채 증가세가 계속되고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등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되면 추가 금리 인상을 적극 고려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좀체 오르지 않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 물가안정목표제 개선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3년 주기인 물가안정목표제를 선진국처럼 점검 주기를 없애거나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