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이 급격히 오른 데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에 들어가는 비용이 점점 불어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분보다 보전비용이 더 들어가면서 사회 전체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최저 시급이 지난해 6470원에서 올해 7530원으로 1060원(16.4%) 상승하면서 월급(209시간) 기준으로는 135만원에서 157만원으로 22만원 올랐다. 정부는 영세(근로자 30인 미만) 사업주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근로자 1인당 월 13만원을 사업주에게 주기로 했다.
정부는 고용보험·국민연금에 신규 가입하는 근로자에 대해 사업주가 부담하는 보험료의 최대 90%(월 12만원가량)까지 재정으로 지원한다. 최저임금을 월 22만원 올려주기 위해 월 25만원을 들이는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일 최저임금 인상 부작용을 막을 특단의 대책을 주문함에 따라 사업주에 대한 직간접 지원비용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정작 영세 사업주에겐 ‘그림의 떡’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아르바이트생 한두 명 정도를 고용한 영세 사업주가 최저임금 인상분을 지원받겠다고 고용보험까지 가입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가 올해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따라 부담이 커지는 영세 사업주 지원을 위해 쓰겠다고 한 돈은 당초 3조원이었다. 근로자 1인당 최저임금 인상분(16.4%)의 9%포인트에 해당하는 12만원과 노무비용 1만원을 더한 13만원을 사업주에게 지원하겠다고 했다. ‘세금으로 민간업체 인건비를 지원하는 것이 맞느냐’는 지적이 잇따랐지만 그대로 밀어붙였다.
그러나 지원 비용은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국회는 작년 말 예산안을 심사하면서 영세업체와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국민연금 보험료 일부를 지원하는 두루누리 사업 예산을 7021억원에서 8932억원으로 1911억원 늘렸다. 이에 더해 올해 건강보험료를 50% 감면해주고, 4대 보험에 신규 가입하면 보험료의 절반을 2년간 세금에서 깎아주기로 했다. 여기에 들어가는 돈이 또 1조원이다.
영세업체의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 완화 등을 통해 ‘1조원+α’를 추가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이것까지 합치면 올해 최저임금 인상 대가로 총 5조원 이상이 들어가는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만큼 비용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정작 영세업체들이 체감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고용보험,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료 지원의 경우 사회보험에 가입해야만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은 “고용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지만 그동안 가입하지 않았던 사업장이 자진 신고하고 가입하면 과태료는 면제된다고 해도 밀린 보험료를 모두 내야 하는 부담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분 보전이나 사회보험료 지원을 한시적으로만 하겠다고 밝힌 것도 영세사업주에는 부담이다. 당장은 지원을 받아 버틴다고 해도 지원이 끊기면 고스란히 사업주가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근로복지공단 관계자는 “정부가 정확히 언제까지 얼마나 지원해주냐는 질문이 많다”며 “혼란스러워하는 사업주가 많다”고 말했다.
매서운 강추위가 연일 전국을 강타한 여파로 편의점에서는 방한용품 매출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7일 뉴스1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일주일간 편의점 내 핫팩 등 한파 관련 용품이 전년 동기 대비 대폭 늘었다. 지난해 영상권을 보였던 기온이 올해 영하 10도 안팎까지 떨어지면서다.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의 핫팩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8% 늘었고, 방한용품 매출은 317% 폭증했다. 꿀음료, 한방음료 등 몸을 따뜻하게 녹일 수 있는 음료의 매출도 각각 30.4%, 19.3% 증가했다.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의 경우 핫팩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4.8% 올랐다. 스타킹은 37.9%, 따뜻한 먹거리인 군고구마(21.3%)와 즉석오뎅(15.1%), 즉석원두커피(10%), 국탕찌개류(25.6%)도 증가세를 보였다.세븐일레븐에서는 핫팩과 방한용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0%, 110% 늘었다. 이마트24에서는 핫팩과 원컵차류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136%, 20% 증가했다.강추위에 더해 전국적으로 독감(인플루엔자)이 유행하면서 기약 등 상비약 매출 역시 대폭 늘었다. 감기약 매출 전년 동기 대비 신장률은 CU(28.9%), 세븐일레븐(15%), 이마트24(14%), GS25(11.7%) 등이다.업계 관계자는 "추위가 좀처럼 물러나지 않으면서 핫팩 등 방한용품 매출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타사 제품도 이름을 빌려 쓸 정도로 이동형 무선 스크린으로 자리매김한 'LG 스탠바이미'가 신작도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가 지난 5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한 라이브에서 'LG 스탠바이미2' 준비 물량이 완판됐다. 당시 라이브 시청횟수는 40만회를 넘어설 정도로 시청자들이 몰렸다. 사전 판매 페이지 접속 대기인원은 한때 500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라이브방송엔 배우 이이경이 특별 출연해 눈길을 끌었다. 일부 시청자들은 준비 물량이 빠르게 완판되자 댓글창에서 불만을 쏟아냈다. "(라이브) 시간되자마자 대기도 없이 들어갔는데 주문 화면에 판매불가 상품이라고 한다", "구매가 안 된다", "설명 좀 듣고 사려는데 벌써 주문 불가냐"라는 등의 반응들이 댓글창을 가득 채웠다. 전작도 2021년 공식 출시 전 사전 판매 당시 한 시간 만에 준비 물량이 완판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스탠바이미가 화제가 되면서 삼성전자도 이동형 무선 스크린 '무빙스타일'을 출시했다. 삼성전자 공식 온라인 파트너사들은 이 제품을 스탠바이미와 유사한 '삼탠바이미'로 홍보했다. 스탠바이미 구매고객의 연령대를 보면 주로 3040세대인 것으로 파악된다. LG전자는 사전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1500대에 한해 12만원 상당의 전용 액세서리 '폴리오 커버'를 증정하고 있다. 사전 구매자들은 다음 달 1일부터 제품을 순차적으로 받아보게 된다. 이번 신제품은 '이동식 무선 스크린' 시장을 개척한 'LG 스탠바이미'의 후속작이다. 전작이 출시된 지 4년 만에 나온 신작이기도 하다. 스탠바이미2는 나사를
◆ 숨 고르기 들어간 뉴욕증시, 혼조 마감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최근 급반등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간 듯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6일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25.65포인트(0.28%) 내린 44,747.63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09포인트(0.36%) 오른 6,083.57, 나스닥지수는 99.66포인트(0.51%) 상승한 19,791.99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증시는 전반적으로 보합권에서 좁게 움직이며 방향을 탐색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지난 주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이번 주 급락 출발했던 3대 주가지수는 전날까지 빠르게 반등하며 모두 상승 전환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단기간에 빠르게 반등했던 만큼 일정 부분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증시 참가자들은 이날 호흡을 조절하며 트럼프의 정책 변수 방향을 따져보는 것으로 보입니다.◆ 충주 북서쪽서 규모 3.1 지진…피해 신고 없어오늘 오전 2시 35분께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 지역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진앙은 북위 37.14도, 동경 127.76도로 행정구역상 충주시 앙성면이며 진원의 깊이는 9㎞로 추정됩니다. 기상청은 지진파 중 속도가 빠른 P파를 자동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지진의 규모를 4.2로 추정했다가 추가 분석을 거쳐 3.1로 조정했습니다. 기상청이 애초 지진 규모를 4.2로 추정하면서 충청권은 물론 서울과 인천, 강원, 전북, 경북, 경남 등에도 새벽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습니다. 이번 지진으로 충북 충주시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느끼고, 그릇과 창문이 깨지기도 하는 정도'의 흔들림(진도 5)이 느껴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