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비아 하슬러도 합류
디자인 늘리고 가격거품 빼
젊은층 인기 끌며 완판 행진
올해 NII·쿠론도 가입 전망
◆“10~20대를 잡아라”
신세계인터내셔날(SI)의 여성복 브랜드 스튜디오 톰보이는 지난해 1100억원의 연매출을 올렸다. 전년보다 14.6% 증가했다. SI가 스튜디오 톰보이를 리뉴얼하기 전인 2015년 매출(830억원)과 비교하면 32.5% 늘었다. 보브는 2년 연속 900억원대이던 매출이 지난해 1050억원으로 올라섰다. SI 관계자는 “두 브랜드가 각각 40년, 20년 된 해에 이룬 성과로 의미가 남다르다”며 “올해는 매출 목표를 스튜디오 톰보이 1200억원, 보브는 1100억원으로 잡았다”고 말했다.
스튜디오 톰보이가 메가브랜드 대열에 오른 건 디자인과 가격을 세분화해 다양한 연령층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토종 브랜드이기 때문에 외국 브랜드보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좋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2016년 말 브랜드명을 바꾸면서 총 다섯 가지 라인으로 제품군을 늘렸다. 디자인도 10~20대 취향을 많이 반영했다. 지난해엔 유행하는 체크 무늬를 적용한 트렌치코트, 재킷, 치마, 바지 등을 내놔 한 달 만에 ‘완판(완전판매)’을 기록했다. 특히 롱코트는 3차 재생산에 들어갈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최신 트렌드를 빨리 반영한 옷을 좋은 가격에 내놔 소비자의 호응을 얻었다는 평가다. 스튜디오 톰보이는 3년 안에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올해는 더 다양한 디자인과 제품을 내놓을 계획이다.
보브의 지난해 매출 증가는 무스탕, 코트 등 외투 판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보통 400만~500만원대인 가죽 무스탕을 200만원대로 내놔 매출이 137% 급증했다. 추워지기 전에 미리 내놓은 코트류는 전년보다 매출이 24% 증가했다. 10~20대가 선호하는 스트리트 패션을 ‘#VX’ 제품군으로 내놓고, 아동복 라인 ‘V주니어’를 선보이는 등 제품군을 세분화한 것도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메가브랜드 서열다툼 ‘치열’
패션그룹형지의 여성복 올리비아 하슬러도 지난해 1000억원을 처음 돌파했다. 10주년을 맞아 전국 250개 매장에서 공격적으로 마케팅한 덕분이다. 브랜드 로고를 바꾸고 젊은 층 유입을 위해 특가 상품, 여행권 등 경품 이벤트 등을 벌였다.
올해는 메가브랜드 내에서 서열 다툼이 더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일찌감치 메가브랜드 대열에 이름을 올린 타임은 지난해 2070억원, 시스템은 1250억원, 올리비아로렌은 2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여성복 구호, 샤트렌은 지난해 1000억원대를 유지했다. 지난해 1100억원의 매출을 낸 이랜드그룹 여성복 미쏘는 올해 상반기 남성복 미쏘맨을 내놓는 등 브랜드를 공격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어떤 브랜드가 메가브랜드에 합류할지 주목하고 있다. 가장 가능성 높은 건 세정의 캐주얼 브랜드 NII다. 지난해 930억원의 매출을 낸 데다 올해 10~20대를 겨냥한 신제품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기 때문이다. 코오롱FnC의 잡화 브랜드 쿠론은 매출이 900억원 언저리에 있다. 차정호 신세계인터내셔날 대표는 “브랜드가 얼마나 오래됐는지도 중요하지만 소비자에게 어떤 브랜드로 인식되는지가 더 중요하다”며 “메가브랜드 입성은 그런 차원에서 의미가 있고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