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리스크 관리 강화"… 동양·ABL생명에 경영개선 조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양생명 중국 투자 과다…ABL생명 보장성보험 늘려야"
감독당국이 최근 두 달 새 중국 안방보험이 대주주로 있는 동양생명과 ABL생명에 잇따라 경영개선 조치를 내렸다. 동양생명에 대해선 중국에 대한 투자 리스크를, ABL생명(옛 알리안츠생명)에 대해선 저축성보험 과다 판매에 대한 리스크를 강화하라는 게 이번 조치의 핵심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1월16일 ‘중국에 대한 투자금액이 한도 대비 수조원을 초과했다’며 동양생명에 경영개선 조치를 내렸다. 외국환거래법 시행령에 따르면 해외 국가 대상 투자 규모는 전월 말 자기자본의 10% 이내로 관리해야 한다. 단, 국제신용평가사가 부여하는 Aa3(무디스 기준) 등급 이상은 국가별 투자한도 적용을 받지 않는다.
지난해 5월 무디스는 중국의 신용등급을 Aa3에서 A1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 대한 투자한도가 적용되면서 한도를 초과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금감원은 구체적인 한도 초과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동양생명에 대한 제재 조치를 내린 지 한 달여 만인 지난달 29일에는 ABL생명의 저축성보험 과다 판매 관련 경영유의 및 개선사항을 통보했다. 구체적으로 상품 포트폴리오와 금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라는 내용이었다.
금감원은 “금리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당초 목표 대비 저축성보험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며 “저축성보험 판매 실적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8월 안방보험에 편입된 ABL생명은 방카슈랑스 채널을 통해 저축성보험을 공격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ABL생명의 방카 모집을 통한 초회보험료는 9111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방카 초회보험료(400만원) 대비 22만 배 이상 폭증했다.
ABL생명의 영업 방식은 계열사인 동양생명을 그대로 닮았다. 2015년 9월 안방보험에 편입된 동양생명의 방카 초회보험료는 같은 해 1~10월 1017억원에서 이듬해 같은 기간 2조1107억으로 20배 가량 늘었다.
2021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과도한 저축성보험 판매는 보험사에 부담이 된다. 당장은 고액의 보험료를 거둬들여 외형을 키울 수 있지만, 많이 팔수록 부채가 쌓여 자본 확충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안방보험이 두 회사의 몸집을 불린 후 비싼 가격에 시장에 내놓아 매각 차익을 챙긴 채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게 아니냐는 의심어린 시선도 여전히 제기된다.
ABL생명 관계자는 “저축성보험 비중을 줄여나가는 대신 변액보험 위주로 상품을 재편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1월16일 ‘중국에 대한 투자금액이 한도 대비 수조원을 초과했다’며 동양생명에 경영개선 조치를 내렸다. 외국환거래법 시행령에 따르면 해외 국가 대상 투자 규모는 전월 말 자기자본의 10% 이내로 관리해야 한다. 단, 국제신용평가사가 부여하는 Aa3(무디스 기준) 등급 이상은 국가별 투자한도 적용을 받지 않는다.
지난해 5월 무디스는 중국의 신용등급을 Aa3에서 A1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 대한 투자한도가 적용되면서 한도를 초과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금감원은 구체적인 한도 초과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동양생명에 대한 제재 조치를 내린 지 한 달여 만인 지난달 29일에는 ABL생명의 저축성보험 과다 판매 관련 경영유의 및 개선사항을 통보했다. 구체적으로 상품 포트폴리오와 금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라는 내용이었다.
금감원은 “금리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당초 목표 대비 저축성보험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며 “저축성보험 판매 실적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8월 안방보험에 편입된 ABL생명은 방카슈랑스 채널을 통해 저축성보험을 공격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ABL생명의 방카 모집을 통한 초회보험료는 9111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방카 초회보험료(400만원) 대비 22만 배 이상 폭증했다.
ABL생명의 영업 방식은 계열사인 동양생명을 그대로 닮았다. 2015년 9월 안방보험에 편입된 동양생명의 방카 초회보험료는 같은 해 1~10월 1017억원에서 이듬해 같은 기간 2조1107억으로 20배 가량 늘었다.
2021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과도한 저축성보험 판매는 보험사에 부담이 된다. 당장은 고액의 보험료를 거둬들여 외형을 키울 수 있지만, 많이 팔수록 부채가 쌓여 자본 확충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안방보험이 두 회사의 몸집을 불린 후 비싼 가격에 시장에 내놓아 매각 차익을 챙긴 채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게 아니냐는 의심어린 시선도 여전히 제기된다.
ABL생명 관계자는 “저축성보험 비중을 줄여나가는 대신 변액보험 위주로 상품을 재편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