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비지지층도 추가조치 불가엔 찬성…78% "韓 신뢰 못해"
日 국민의 '위안부 인식'… 83% "협상 추가조치 거절 '잘했다'"
일본 국민의 10명 중 8명 이상이 자국 정부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협상에 대한 한국의 추가 조치 요구를 거부한 것에 대해 긍정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15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12~14일 18세 이상 유권자 1천70명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로부터 받은 추가 요구에 응하지 않기로 한 것을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에 83%가 "지지한다"고 답했고, 11%만이 "지지하지 않는다"고 했다.

"지지한다"는 응답은 성별이나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높았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지지 응답자(88%)와 비지자(80%) 간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문 대통령은 이달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진실을 인정하고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진심을 다해 사죄하고, 그것을 교훈으로 삼아 국제사회와 노력하는 것이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라고 밝혀 사실상 추가 조치를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반복해서 밝혔다.

요미우리는 문 대통령의 사실상 추가 조치 요구에 대해 응답자의 86%가 "납득하지 못한다"고 답했고, "납득할 수 있다"는 응답은 5%에 그쳤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이 신뢰 가능한 나라인가"라는 질문에 "그다지 신뢰할 수 없다"(43%), "전혀 신뢰할 수 없다"(35%) 등으로 부정적인 응답이 78%로 나왔다.

"신뢰할 수 있다"는 대답은 19%였다.

한국 불신 시각은 요미우리가 작년 5월 실시한 여론조사 때의 69%보다 9%포인트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아베 내각의 지지율은 54%로 지난달의 53%와 비슷했다.

여당 자민당의 정당 지지율은 39%로, 이 또한 역시 전달(40%)과 비슷했다.

자민당이 논의를 본격화하는 평화헌법(9조)의 개헌 움직임과 관련해 '기존 조항을 놔둔 채 자위대의 존재를 명기하자'는 아베 총리의 제안에 대해 32%만이 찬성했다.

"자위대의 존재 명기가 필요 없다"(현행 유지)는 대답은 22%뿐인 반면, "9조의 2항을 삭제하고 자위대의 목적 등을 명기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개헌 의견도 34%나 됐다.

'전력 보유·교전권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은 9조 2항은 '전쟁가능한 일본'을 막아온 핵심 조항이다.

북한 문제와 관련, 응답자의 50%는 해법으로 '압력'을, 40%는 '대화'를 각각 선택했다.

압력 선택은 전달(46%)보다 늘었고, 대화 선택은 전달(43%)보다 줄었다.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와 남북 군사회담 개최가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의 해결로 이어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엔 78%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