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강남권 "왜 우리가 재건축 연장 폭탄 맞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상 단지 85%가 비강남
87~91년 준공 아파트 단지, 비강남에 21만 가구 몰려
강남3구는 14.9%에 불과
87~91년 준공 아파트 단지, 비강남에 21만 가구 몰려
강남3구는 14.9%에 불과

◆재건축 연한 강화 강남 영향 ‘미미’
준공 연도가 30년 미만일수록 강남권 비중은 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개발은 1970~198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이뤄져 대부분 단지가 준공된 지 35년을 넘긴 까닭이다. 1980년대 이후에는 재개발, 택지개발 사업 등을 통해 강북 등 비강남권에 중·고층 아파트가 대거 들어섰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기준 준공 20년 이상, 30년 미만의 1989~1998년 건설 아파트는 1249개 단지, 총 42만7983가구다. 재건축 연한이 다가옴에 따라 투자상품으로 떠올랐지만, 정부가 재건축 연한을 40년으로 늘리면 직격탄을 맞게 되는 곳들이다. 이 가운데 강남권 4구의 아파트는 14.9%에 불과하다.
정부의 재건축 연한 강화 검토 움직임이 알려지면서 목동, 상계동 등 비강남권 지역에서는 강한 반발이 나오고 있다. 8·2 대책으로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재건축까지 제동이 걸리게 된 노원 일대에서 특히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원구 하계동 H공인 관계자는 “지금 재건축 연한을 40년으로 늘리면 강남에서 30년 넘겨 재건축 사업을 진행 중인 곳들만 대박이 날 것”이라며 “재건축을 막으면 결국 서울 지역에 공급이 막혀 서울 전체 집값이 다 뛴다”고 말했다. 인근 A공인 관계자는 “노원구 일대는 가격도 많이 오르지 않았는데 투기지역으로 지정돼 대출이 막힌 데다 노후된 단지 정비사업까지 늦어질 판”이라며 “서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고 지역 분위기를 전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현행 30년 기준의 재건축 연한에 따른 기대로 가격이 올랐던 곳은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문정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시영아파트 등 대부분 강남권 아파트였다”며 “비강남권 단지들은 8·2 부동산 대책 이후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았는데도 재건축마저 막히면 억울하게 타격을 받게 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