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부터 합산 소득이 7000만원(연간 기준)을 넘는 신혼부부도 보금자리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자녀가 2명 이상이면 자녀 수에 따라 보금자리론 신청 요건이 완화된다. 28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18년 업무계획’에는 이 같은 내용의 서민·실수요자 주거안정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이 포함됐다.
보금자리론은 연 3.2~3.45%대의 장기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로, 서민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금융 상품이다. 금융위는 이 상품의 가짓수를 늘려 3월 중 ‘신혼부부 전용 보금자리론’과 ‘다자녀 전용 보금자리론’을 새롭게 내놓을 계획이다. 손병두 금융위 사무처장은 “서민·실수요자의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주택금융 상품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기존 일반 보금자리론은 부부합산 연소득이 7000만원 이하여야 한다. 하지만 소득은 있더라도 초기 자산이 부족한 신혼부부에게도 주택구입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금융위의 판단이다. 혼인 7년 이내인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전용 상품을 따로 만들고 연소득 기준을 7000만원보다 늘려 잡을 계획이다. 구체적인 액수는 아직 조율 중이다.
다자녀 전용 보금자리론은 자녀 수에 따라 신청 요건을 차등 적용해주는 식이다. 자녀가 많으면 더 넓은 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해서다. 일반 보금자리론은 대출한도(3억원) 주택가격(6억원) 우대금리 조건(85㎡ 이하) 등의 요건을 갖춰야 했다. 금융위는 자녀가 둘 이상인 가구도 가입 대상으로 검토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자녀 수를 몇 명부터 적용할지, 차등 수준은 어떻게 둘지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2년 이상 성실하게 부채를 상환해온 신용회복자나 대출을 9개월 이상 꾸준히 갚은 서민금융 이용자의 주거안정을 위한 ‘소액임차 특례보증’도 3월에 도입하기로 했다. 5월에는 2금융권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 분할상환으로 전환하는 정책모기지 상품을 5000억원 규모로 도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령층 주거안정을 위해 연금 수급혜택을 확대하는 주택연금 제도개선 방안을 2분기 중 내놓는다. 현재는 주택에 실제 거주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요양시설 입소나 임대주택 활용 등으로 거주하지 않아도 연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바꾼다.
1인당 3억원으로 제한된 보증한도도 올 상반기 내 개편한다. 보증한도를 확대하는 동시에 상품별 보증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동안은 보증한도 때문에 전세보증 이용자가 신규 주택을 분양받을 경우 중도금 보증을 추가 이용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복수보증이 필요할 때 불편이 없도록 바꾼다는 얘기다.
시간이나 날씨의 제약 없이 즐길 수 있는 스크린골프가 저렴한 비용으로 인기몰이하는 가운데, 스크린골프장 이용객들 사이에서 위생 관련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스크린골프장 매출 상위 3사(골프존파크, SG골프, 프렌즈 스크린)의 소비자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조사한 결과 고객 응대나 결제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위생 등 매장 청결 상태 등 위생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해당 조사는 지난해 9월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20∼60대 이상 소비자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다.3사의 종합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74점이었다. 업체별로는 프렌즈 스크린이 3.7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골프존파크가 3.75점, SG골프가 3.69점의 점수를 얻었다.세부 평가항목별로 보면 매장 디자인, 서비스 일관성, 고객 응대, 직원 전문성, 고객 공감 등 5개 요소로 구성된 서비스 품질은 프렌즈 스크린이 3.85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골프존파크가 3.78점, SG골프 3.74점 순이었다.프로그램과 내부 공간, 매장 접근성, 이용요금, 결제 과정, 부가 지원 서비스 등 6개 요소를 평가하는 서비스 상품에선 골프존파크(3.89점), 프렌즈 스크린(3.88점), SG골프(3.85점)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다만 응답자 1500명 가운데 13.5%는 스크린골프 이용 중 불만·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매장 청결 상태 미흡'과 '실내 공기 오염'이 각각 40.1%로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게임 중단'(37.6%), '편의 서비스 이용 불편'(29.7%), '직원 불친절'(26.7%) 등이 뒤를 이었다.응답자 중 58.1%는 업체를 바꾼 경험이 있었다. 전환 사유로는 32.
삼성전자가 7일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전 세계에 출시한 가운데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쇼핑몰인 ‘페스티벌시티몰’에 마련된 체험 공간에서 관람객이 갤럭시 S25 신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이달 3일까지 진행된 국내 사전 판매에서 총 130만 대가 팔렸다. 역대 갤럭시S 시리즈 중 최다 기록이다. 삼성전자 제공
대한항공이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도 22.5% 늘었다. 항공 여객 수요와 항공 화물 수요가 동반 확대된 덕분이다.대한항공은 작년 매출이 16조1166억원으로, 2023년(14조5751억원)보다 10.6%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이전 최고 매출 기록을 1년 만에 갈아치웠다. 영업이익도 1조944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5% 늘었다.여객 사업과 화물 사업의 고른 성장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대한항공의 작년 국제선 여객은 1778만 명으로 2023년(1406만 명)보다 26.5% 증가했다. 화물 수송 실적도 2023년 146만t에서 지난해 160만t으로 9.6% 늘었다.작년 4분기에는 매출 4조296억원, 영업이익 4765억원을 올렸다.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1%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영업이익이 159%나 증가했다. 4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인 탓에 여객 사업 매출(2조3746억원)이 전년 동기보다 3% 감소했지만, 가격이 비싼 프레스티지석 판매가 늘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연료비가 전년보다 17%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4분기 화물 사업 매출(1조1980억원)은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발(發) 전자상거래 물동량 확대에 힘입어 9% 증가했다. 대한항공은 올 1분기 여객 부문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김보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