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대책·고령화 여파…인구이동률 45년만에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7년 국내인구이동…수도권 5년 만에 순유입전환, 서울은 28년째 순유출
구조조정 여파로 경남·울산 직업 전입인구 2년째 뒷걸음질
지난해 8·2부동산 대책과 고령화 등의 여파로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이 4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탈출 러시가 계속되면서 서울은 28년 연속 인구 순유출 기록을 세웠지만, 수도권은 5년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했다.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로 직업을 이유로 한 경남·울산 전입인구가 2년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 8·2대책 여파로 인구이동 급감…이동률 1972년 이후 최저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는 총 715만4천명으로 1976년(677만3천명) 이후 가장 적었다.
인구이동률은 14.0%로 전년보다 0.5%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1972년 11.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1970년 404만6천명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온 인구 이동자 수는 1988년 996만9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는 추세다.
최근 인구 이동자수는 정부가 2014∼2015년 경기 활성화를 위해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면서 2년 연속 증가했지만 2016년 여신심사가이드라인 도입에 이어 2017년에는 6·19와 8·2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인구이동은 뒷걸음질 쳤다.
인구이동이 가장 활발한 20∼30대 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고령인구 비중이 늘어난 점 등도 전체 인구이동자 수가 줄어드는데 영향을 미쳤다. 시도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3%, 시도 간 이동은 33.7%로 전년 대비 각각 3.7%, 1.7% 감소했다.
연령별 이동률을 보면 전 연령대에서 이동률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20대(21.4%)와 30대(21.0%)가 가장 높았고 70대(7.0%)가 가장 낮았다.
전년 대비 연령별 이동률은 10세 미만과 80세 이상에서 0.6%포인트, 50대에서 0.5%포인트 순으로 많이 감소했다.
이동자의 중위연령은 인구이동의 주요 요인인 졸업·취업·결혼이 늦어진 탓에 34세로 전년 대비 0.2세 증가했다.
성별 이동률은 남자가 14.3%, 여자가 13.7%였으며 여자 이동자 100명당 남자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 성비는 104.5명으로 전년보다 0.6명 늘어났다.
2007년과 비교하면 총이동률은 4.5%포인트 감소했으며 80세 이상(6.3%포인트), 20대(5.3%포인트), 10세 미만(5.2%포인트)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31.5%), 제주(16.3%), 서울(15.1%) 순으로 높았고 전출률은 세종(18.2%), 서울(16.2%), 대전(15.2%) 순으로 높았다.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11만6천명), 세종(3만5천명), 충남(1만9천명) 등 7개 시도였다.
반면 서울(-9만8천명), 부산(-2만8천명), 대전(-1만6천명) 등 10개 시도는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역 인구대비 순 이동자 수 비율인 순유입률은 세종(13.3%)과 제주(2.2%)가, 순유출률은 대전(-1.1%)과 울산·서울(-1.0%)이 가장 높았다.
서울 전입자의 51.6%는 경기에서, 서울 전출자의 62.0%는 경기로 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 진입자의 54.4%는 서울에서 이동했으며 경기 전출자의 45.7%는 서울로 빠져나갔다. 서울 인구는 지난해 9만8천명이 순유출되면서 지난해 말 기준으로 986만명을 기록, 경기(1천287만명)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28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8·2부동산대책의 여파로 1∼7월 전년동기 대비 1.5%가량이었던 인구이동자수의 감소 폭이 9월 이후 6%로 확대됐다"면서 "주택 매매가 줄어든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조선·해운 구조조정 한파 지속…경남·울산, 2년째 일자리 없어 탈출가속
조선·해운 구조조정의 여파가 지속되면서 경남과 울산은 직업을 찾으려고 나가는 인구가 들어오는 인구를 2년째 추월했다.
2015년까지만 해도 두 도시는 구직하러 들어오는 인구가 더 많았다.
순유입이 경남은 3천300명, 울산은 4천600명에 달했다.
하지만 2016년 상황은 180도로 변했다.
경남은 4천400명, 울산은 1천600명이 구직을 목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순유출됐다.
지난해에는 경남에서 1만1천800명, 울산은 4천700명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 탈출러시가 더 심화했다.
전국적으로 봤을 때 인구이동의 사유는 주택(41.3%), 가족(23.4%), 직업(20.5%)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지난해 이동자 수가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특히 주택 사유가 전년보다 21만2천명이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시도 내 이동사유로는 주택(50.2%)이 가장 많았으며 시도 간 이동사유로는 직업(33.2%)이 제일 많았다.
순유입률이 높았던 세종·경기는 주로 주택 때문에 전입했으며, 제주는 직업 때문이었다.
반대로 순유출률이 높았던 서울·부산·대전은 주택 때문에 전출했으며, 울산은 일자리를 구하려고 떠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4대 권역별로 봤을 때는 수도권에 1만6천명이 순유입돼 5년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했다.
중부권은 4만2천명이 순유입돼 2006년부터 순유입을 이어갔다.
나머지 권역은 모두 순유출이었다.
호남권과 영남권의 순유출은 각 1만8천명과 5만4천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3천명과 1만4천명씩 늘었다.
이렇게 영·호남권을 떠난 이들은 주로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이동했다.
시도별로 봤을 때 수도권에서 순유출은 충남(-1만2천900명), 제주(-8천700명), 세종(-6천500명) 순으로 많았다.
반대로 수도권으로의 순유입은 경남(8천600명), 부산(8천300명), 대구(7천900명)으로 영남권에서 집중됐다.
서울은 위성도시가 있는 경기·인천으로 순유출이 전년보다 3만1천700명 감소한 11만5천900명으로 집계됐다.
순유입률은 대구 달성군(10.3%)가 순유출률은 경기 과천시(-10.6%)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12월 국내인구이동은 61만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6%(5만8천명) 줄었다.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5.9%였고, 시도 간 이동자는 34.1%를 차지했다.
인구이동률은 1.20%로, 1년 전보다 0.11%포인트 감소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1만2천964명), 세종(3천509명) 등 11개 시도는 순유입이었다.
서울(-1만4천718명), 부산(-3천706명), 광주(-2천669명)은 순유출이었다.
순이동률로 봤을 때는 세종(1.10%), 제주(0.16%), 충남(0.13%) 등이 순유입이었고, 광주(-0.18%), 대전(-0.15%), 서울(-0.15%) 등은 순유출됐다.
/연합뉴스
구조조정 여파로 경남·울산 직업 전입인구 2년째 뒷걸음질
지난해 8·2부동산 대책과 고령화 등의 여파로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이 4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탈출 러시가 계속되면서 서울은 28년 연속 인구 순유출 기록을 세웠지만, 수도권은 5년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했다.
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로 직업을 이유로 한 경남·울산 전입인구가 2년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 8·2대책 여파로 인구이동 급감…이동률 1972년 이후 최저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는 총 715만4천명으로 1976년(677만3천명) 이후 가장 적었다.
인구이동률은 14.0%로 전년보다 0.5%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1972년 11.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1970년 404만6천명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온 인구 이동자 수는 1988년 996만9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는 추세다.
최근 인구 이동자수는 정부가 2014∼2015년 경기 활성화를 위해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면서 2년 연속 증가했지만 2016년 여신심사가이드라인 도입에 이어 2017년에는 6·19와 8·2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인구이동은 뒷걸음질 쳤다.
인구이동이 가장 활발한 20∼30대 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고령인구 비중이 늘어난 점 등도 전체 인구이동자 수가 줄어드는데 영향을 미쳤다. 시도 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3%, 시도 간 이동은 33.7%로 전년 대비 각각 3.7%, 1.7% 감소했다.
연령별 이동률을 보면 전 연령대에서 이동률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20대(21.4%)와 30대(21.0%)가 가장 높았고 70대(7.0%)가 가장 낮았다.
전년 대비 연령별 이동률은 10세 미만과 80세 이상에서 0.6%포인트, 50대에서 0.5%포인트 순으로 많이 감소했다.
이동자의 중위연령은 인구이동의 주요 요인인 졸업·취업·결혼이 늦어진 탓에 34세로 전년 대비 0.2세 증가했다.
성별 이동률은 남자가 14.3%, 여자가 13.7%였으며 여자 이동자 100명당 남자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이동률 성비는 104.5명으로 전년보다 0.6명 늘어났다.
2007년과 비교하면 총이동률은 4.5%포인트 감소했으며 80세 이상(6.3%포인트), 20대(5.3%포인트), 10세 미만(5.2%포인트)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31.5%), 제주(16.3%), 서울(15.1%) 순으로 높았고 전출률은 세종(18.2%), 서울(16.2%), 대전(15.2%) 순으로 높았다.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11만6천명), 세종(3만5천명), 충남(1만9천명) 등 7개 시도였다.
반면 서울(-9만8천명), 부산(-2만8천명), 대전(-1만6천명) 등 10개 시도는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역 인구대비 순 이동자 수 비율인 순유입률은 세종(13.3%)과 제주(2.2%)가, 순유출률은 대전(-1.1%)과 울산·서울(-1.0%)이 가장 높았다.
서울 전입자의 51.6%는 경기에서, 서울 전출자의 62.0%는 경기로 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 진입자의 54.4%는 서울에서 이동했으며 경기 전출자의 45.7%는 서울로 빠져나갔다. 서울 인구는 지난해 9만8천명이 순유출되면서 지난해 말 기준으로 986만명을 기록, 경기(1천287만명)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28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8·2부동산대책의 여파로 1∼7월 전년동기 대비 1.5%가량이었던 인구이동자수의 감소 폭이 9월 이후 6%로 확대됐다"면서 "주택 매매가 줄어든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조선·해운 구조조정 한파 지속…경남·울산, 2년째 일자리 없어 탈출가속
조선·해운 구조조정의 여파가 지속되면서 경남과 울산은 직업을 찾으려고 나가는 인구가 들어오는 인구를 2년째 추월했다.
2015년까지만 해도 두 도시는 구직하러 들어오는 인구가 더 많았다.
순유입이 경남은 3천300명, 울산은 4천600명에 달했다.
하지만 2016년 상황은 180도로 변했다.
경남은 4천400명, 울산은 1천600명이 구직을 목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순유출됐다.
지난해에는 경남에서 1만1천800명, 울산은 4천700명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 탈출러시가 더 심화했다.
전국적으로 봤을 때 인구이동의 사유는 주택(41.3%), 가족(23.4%), 직업(20.5%)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지난해 이동자 수가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특히 주택 사유가 전년보다 21만2천명이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시도 내 이동사유로는 주택(50.2%)이 가장 많았으며 시도 간 이동사유로는 직업(33.2%)이 제일 많았다.
순유입률이 높았던 세종·경기는 주로 주택 때문에 전입했으며, 제주는 직업 때문이었다.
반대로 순유출률이 높았던 서울·부산·대전은 주택 때문에 전출했으며, 울산은 일자리를 구하려고 떠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4대 권역별로 봤을 때는 수도권에 1만6천명이 순유입돼 5년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했다.
중부권은 4만2천명이 순유입돼 2006년부터 순유입을 이어갔다.
나머지 권역은 모두 순유출이었다.
호남권과 영남권의 순유출은 각 1만8천명과 5만4천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3천명과 1만4천명씩 늘었다.
이렇게 영·호남권을 떠난 이들은 주로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이동했다.
시도별로 봤을 때 수도권에서 순유출은 충남(-1만2천900명), 제주(-8천700명), 세종(-6천500명) 순으로 많았다.
반대로 수도권으로의 순유입은 경남(8천600명), 부산(8천300명), 대구(7천900명)으로 영남권에서 집중됐다.
서울은 위성도시가 있는 경기·인천으로 순유출이 전년보다 3만1천700명 감소한 11만5천900명으로 집계됐다.
순유입률은 대구 달성군(10.3%)가 순유출률은 경기 과천시(-10.6%)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12월 국내인구이동은 61만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6%(5만8천명) 줄었다.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5.9%였고, 시도 간 이동자는 34.1%를 차지했다.
인구이동률은 1.20%로, 1년 전보다 0.11%포인트 감소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1만2천964명), 세종(3천509명) 등 11개 시도는 순유입이었다.
서울(-1만4천718명), 부산(-3천706명), 광주(-2천669명)은 순유출이었다.
순이동률로 봤을 때는 세종(1.10%), 제주(0.16%), 충남(0.13%) 등이 순유입이었고, 광주(-0.18%), 대전(-0.15%), 서울(-0.15%) 등은 순유출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