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에서 광역시·도 중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세종(7.02%)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 땅값 상승률(3.88%)은 2007년(3.89%)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국 소비자물가상승률(1.9%)의 두 배에 달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7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광역시·도 중 세종 1위… 제주 주춤
17개 광역시·도 땅값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세종이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전년(4.78%)보다 상승률이 2.24%포인트 뛰었다. 세종은 행정안전부 등 공공기관 추가 이전 기대감과 6생활권 개발이 시작되면서 토지 투자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 다음으로는 부산(6.51%), 제주(5.46%), 대구(4.58%)가 뒤를 이었다. 뜨겁던 제주 땅값 상승률이 둔화되는 추세가 눈에 띈다. 제주 땅값 상승률은 지난 2분기 1.4%에서 3분기 1.37%, 4분기 1.34%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2015~2016년 분기별로 3~4%대 상승률을 나타낸 것과 대조적이다. 시·군·구별 상승률도 지난해엔 서귀포시와 제주시가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올해는 5위 밖으로 밀렸다. 충남(2.98%), 인천(3.1%), 경기(3.45%) 등은 전국 평균(3.88%)을 밑돌았다.
◆부산, 경기 평택 등 ‘톱 5’
시·군·구로 보면 부산 내 세 곳이 땅값 상승률 전국 5위 안에 들었다. 해운대구(9.05%)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우동(10.84%) 중동(10.59%) 등은 10%를 넘겼다. 초고층 레지던스인 엘시티, 도시첨단산업단지인 센텀2지구,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개발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수영구(7.76%)가 그 뒤를 이었다. 재개발사업이 전역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해안가 상업용지 수요가 많아지면서 땅값이 올랐다.
경기 평택시(7.55%)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상승률이 전년(4.22%)보다 79%가량 뛰었다. 평택시 내에선 미군기지가 들어서는 팽성읍(14.26%)이 가장 많이 올랐다. 고덕국제신도시가 조성 중인 고덕면(11.91%)도 10%를 웃돌았다. 부산 기장군(7%)은 일광신도시 등 개발 호재로 전국 상승률 5위를 기록했다. 강원 속초시(5.81%)와 양양군(5.71%)도 수도권과 연결된 도로 철도 등 인프라 확장에 힘입어 상승률이 높았다.
서울(4.32%)은 2013년 9월부터 5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5개 중 강서구(5.48%)와 마포구(5.32%)가 상승률 1, 2위를 차지했다. 강서구는 마곡지구 개발이 한창인 데다 김포공항 주변 건물 신축 고도제한 완화 기대 등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평가다. 마포구는 연남동 등 홍대상권이 확장되면서 토지 수요가 많아져 땅값이 올랐다.
울산 동구(-1.86%), 경남 거제(0.33%) 등은 조선경기 침체 등 영향으로 전국에서 땅값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거래량, 서울 면적의 3.6배
지난해 전체 토지(순수+건물부속) 거래량은 331만4801필지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면적 기준으론 2206.1㎢로 서울 면적의 약 3.6배다. 지난해 1월 시작된 오피스텔 분양권 실거래신고 의무화 등 영향을 받아 전체 거래량이 늘었다. 분양권을 제외한 매매거래는 193만3652건으로 전년(201만223건)보다 3.8% 줄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 토지거래량은 116만707건으로 전년보다 4.4% 증가했다. 용도 지역별로는 상업지역(39.7%) 거래량 증가분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목별로는 기타잡종지(16.4%), 임야(15%), 공장용지(11.5%) 순으로 증가했다. 토지에 딸린 건물 유형별로는 상업업무용(49%), 공업용(32.9%) 순으로 거래량이 늘었다.
포스코이앤씨가 올해 경기도 최대 재건축 단지로 주목받는 성남시 중원구 ‘은행주공’ 아파트 재건축 시공사로 결정됐다.은행주공 재건축조합은 16일 총회를 열고 포스코이앤씨를 시공사로 선정했다. 이날 열린 총회에는 조합원 1834명이 참석했다. 포스코이앤씨가 1333표, 두산건설이 418표를 얻어 큰 표 차이로 승부가 갈렸다.은행주공은 재건축을 통해 지하 6층~지상 30층, 39개 동, 3198가구 규모로 탈바꿈한다. 총사업비는 약 2조원으로 추산돼 서울을 제외하면 올해 재건축 최대어로 꼽힌다. 예상 공사비는 1조2000억원 수준이다. 이 단지는 용적률이 116%밖에 되지 않아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일반분양 물량만 1000가구가 넘어 조합원 분담금도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는 지난 4일 현장을 방문해 공사 여건과 함께 조합에 제안한 공사 기간, 공사비, 특화 설계 등의 내용을 점검했다. 포스코이앤씨는 3.3㎡당 공사비로 698만원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조합 사업비 한도를 8900억원으로 설정하고, 그중 2400억원을 무이자로 조달하기로 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신용등급이 A+로 우량해 조합원 분담금 경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강조했다. 발코니 옵션 수익 및 철거 부산물 판매 수익도 조합에 귀속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시공사에서 해지된 컨소시엄이 제안한 공사비 715만원보다 낮아 조합 재정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신속한 착공을 위해 조합에 주어진 잔여 인허가 절차인 구조 심의 및 굴토 심의를 위한 실무 지원뿐만 아니라 인허가 비용까지 제공할 방침이다.단지명으로는 ‘더샵 마스터뷰&rsqu
전국적으로 아파트 매매값은 하락하고 전셋값은 오르면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이 뛰고 있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도권 역시 전세가율이 당분간 상승 추세를 보여 수요자 사이에서 월세로 눈을 돌리거나 ‘매매 갈아타기’를 고려하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올해 아파트 분양과 입주 물량도 줄어들고 있어 내 집 마련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조언한다. ◇오름세 지속되는 전셋값1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까지 올랐다. 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시세 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이후 최고치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울도 표본 확대 후 가장 높은 54.1%로 집계됐다. 2023년 4월 50.8%까지 떨어진 서울 전세가율이 1년9개월 만에 3.3%포인트 상승한 것이다.전세가율은 매매 수요에 영향을 주는 지표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아져 매매가와 전세가 격차가 줄어들면 전세에서 매매 수요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진다.최근 전셋값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매매 수요는 꺾였지만 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KB부동산 기준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0.15% 하락했지만, 전셋값은 0.02% 올랐다. 서울은 매매값이 0.06% 올랐고, 전셋값 상승률은 0.07%로 더 높았다.아파트 분양·입주 물량도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 공급된 일반분양 아파트는 3751가구로, 2023년 2월(2725가구) 후 약 2년 만에 가장 적었다. 작년 12월(9435가구)과 비교해 60%가량 줄었다.지난달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일반분양 물량이 ‘제로(0)&rs
좋은 학군은 편리한 교통, 개발 사업 등과 함께 부동산 시장의 호재로 꼽힌다. 서울 동작구 흑석뉴타운 일대와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옛 둔촌주공) 등이 ‘학교를 품은 단지’로 거듭날 전망이어서 관심을 끈다.16일 업계에 따르면 동작구는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흑석고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흑석한강푸르지오’(863가구) 등과 인접한 흑석동 60 일대에 학교가 들어선다. 1997년 중대부고가 강남구 도곡동으로 이전한 뒤 29년 만에 새로운 고등학교가 생기는 셈이다. 흑석동에는 중대부초, 은로초, 흑석초, 중대부중, 동양중 등 초등학교와 중학교만 있다.흑석동은 강남과 여의도, 도심(CBD) 등 3대 업무지구와 가깝다. 입지 경쟁력이 좋아 ‘준강남’이란 별칭도 붙었다.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져 주거 인프라도 점점 개선되고 있다. ‘아크로리버하임’(2019년 준공·1073가구), ‘흑석자이’(2023년·1772가구) 등 신축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고, 흑석 9구역과 11구역 등도 개발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고등학교가 없다는 아쉬운 점이 보완되면서 흑석동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강동구에도 학교 설립 호재가 잇따르고 있다. 강동구에 따르면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단지에 중학교 도시형 캠퍼스를 설립하는 방안이 최근 서울교육청의 자체 재정투자심사를 통과했다. 2029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둔촌주공 재건축 초기부터 중학교 설립은 계획됐다. 하지만 2020년 교육부 심사 결과 학령 아동 감소 등을 이유로 ‘부적정’ 판정을 받아 조합 측이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