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원 신임 금투협회장 "4차 산업혁명, 무시하기엔 너무 크다"
"업권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대규모 고객집단 보유한 정보기술(IT)회사가 금융서비스에 대거 진출하는 작금의 상황은 미증유의 위기임에 분명합니다. 금융투자협회는 앞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앞장서서 고민해나갈 생각입니다."

5일 취임한 권용원 신임 금융투자협회장(사진)은 기자간담회를 열어 금융투자산업 발전을 위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무시하기엔 너무 크다(too big to ignore)"라는 문장으로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권 회장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규제 샌드박스(신제품이나 서비스 출시 전까지 관련 규제 면제)'에 금융투자업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정부는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하면서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의 산업은 포함시킨 반면 금융투자업은 고려하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은 금융업에도 미치는 여파가 크다"고 말했다.

권 회장은 "금융업이 4차 산업혁명이 자금을 조달하는 서포터스의 수준에 그쳐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골드만삭스는 자사를 IT기업이라고 선포한 바 있다"며 "모건스탠리 등 해외 금융회사들은 핀테크 업체들의 투자를 많이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핀테크를 금융업에서 도입하는 동시에 금융 기업들도 핀테크 산업에 들어가는 것을 꺼리지 않아야 한다는 게 권 회장의 생각이다.

향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금융업계의 입장과 의견을 정리해나갈 계획이다. 그는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이 아닌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어떻게 할것이냐는 것, 즉 제도 차원에 대해 금융투자업권에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가상화폐 또한 마찬가지다"며 "선제적인 규제 환경을 만들어 나가면 어떻겠냐는 제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불필요한 규제 혁파의 필요성도 절감했다. 권 회장은 "저성장과 저금리 시대에 국민의 재산을 증대하고 경제구조를 혁신성장 중심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모험자본 공급과 양질의 금융투자상품 공급 과제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규제 선진화와 세제의 정비 수레의 두 바퀴가 잘 굴러가도록 해나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업계 최고경영자(CEO)로 있으면서 규제와 세제 두 가지가 자본시장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기본적으로 증권업이 규제 산업인데, 어떤 규제는 글로벌 기준에서 맞는 건지, 필요한 건지 답답할 때가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한 번쯤은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된 금융투자업 규제를 원칙 중심의 사후 규제로 바꾸는 시도를 해볼 시기가 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금융업에 관한 건 금융 산업 선진화뿐"이라며 "협회가 정부와 시장의 가교 구실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양쪽 모두 납득할만한 정책을 제시하면 더 구체적인 청사진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정책안으로는 초대형 투자은행(IB) 제도 안착, 중소형사 차별화 전략, 펀드산업 육성, 기금형 퇴직연금제도 도입 등을 제시했다.

권 회장은 이번 4대 협회장에 당선된 것에 대한 소감도 밝혔다. 그는 "선거 운동 기간에 150∼180개 금융투자회사를 만나 열심히 의견을 들은 것이 통한 것 같다"며 "통합된 협회를 강화하고 확대·발전시키면서 특정 업권에 쏠리는 바 없이 균형있게 업무를 처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