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44.4세…미국·유럽과 비슷
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닛케이500지수 구성 종목 중 과거 10년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395개사를 대상으로 현금 사용과 조달 동향 등 현금 흐름을 기준으로 각사의 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주요 기업의 평균 연령은 44.4세로 나타났다. 5년 전 조사보다 0.1세, 10년 전보다 0.4세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기업 연령’ 추정에는 최근 3년간 영업활동과 투자활동, 재무활동 통계를 바탕으로 빅토리아 디킨슨 미국 미시시피대 교수가 정립한 ‘현금 흐름 패턴에 따른 기업의 생애주기’ 모델이 적용됐다. 이 이론에 따르면 기업은 △초창기(18~29세) △성장기(30~41세) △성숙기(42~53세) △도태기(54~65세) △쇠퇴기(66~78세)의 5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젊은 기업일수록 투자 비중이 높고, 기업이 고령화될수록 영업 현금 흐름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번 분석 결과 과거보다 ‘젊어진 기업’이 많았다. 구조조정을 적극적으로 진행해 기업체질을 개선했거나, 최근 몇 년간 전체적인 업황이 개선된 분야에서 젊어진 기업이 다수 등장했다. 건설업체 니시마쓰건설은 최근 도쿄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기업 연령이 10년 전 72.7세에서 44.8세로 젊어졌다. 해양자원 개발 투자를 확대한 미쓰비시조선도 13.7세나 평가연령이 줄어든 것으로 나왔다.
국가별 기업 평균연령은 미국 기업이 44.4세, 유럽 기업이 44.2세로 일본(44.4세)과 큰 차이가 없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