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의원은 이날 오전11시 국회 본청에서 금융권 채용비리와 관련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심 의원은 "민간기업이라도 공개채용은 수많은 지원자와의 약속, 일종의 사회계약이기 때문에 그 기준과 다른 기준으로 채용했다는 것은 약속과 계약을 저버리는 일"이라며 "이런 최소한의 인식이 결여돼 있다는 점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부분의 은행들이 국민이 낸 공적자금 투입으로 회생됐는데, 아쉬울 땐 국민 지원과 공적자금을 요청하고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지 못할 때는 자율성을 말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심 의원은 채용 비리에 연루된 KEB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의 해명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KEB하나은행은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출신 지원자 7명의 면접 점수를 높이고 합격권 내의 기타 대학 출신자 7명의 점수를 내리는 방식으로 조정을 한 것에 대해 "입점 대학 출신자에게 가점을 부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연세대는 입점 대학이 아님에도 점수를 올렸고 명지대는 주거래 은행임에도 탈락을 시켰다"며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비판했다.
KB국민은행의 경우에는 윤종규 KB금융그룹회장의 종손녀가 서류 전형과 1차 면접에서 합격자 중 최하위권이었음에도, 2차 면접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것에 대해 지적했다. 국민은행은 채용 전형이 매 단계마다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전 단계에서의 점수는 합산되지 않는다고 해명한 바 있다.
심 의원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만 그런 전형 방식이라면 공개채용 때 지원자에게 알렸어야 한다"며 "앞으로 제도 개선을 하겠다는 답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한민국 청년들이 금수저 흙수저 계급사회에서 탈조선 외치는 상황을 더이상 외면할 수 없다"며 "채용비리 발본색원을 위해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아름 / 김소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