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기록되고 관리된다'...IT와 만난 만성질환 관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에 활용되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들이 주목받고 있다. 블루투스,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 등 정보기술(IT)을 접목해 환자들의 편의성을 높여 만성질환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면서다.
한국오므론은 최근 국내 시장에 블루투스 혈압계를 출시했다. 무선 혈압계를 이용해 혈압을 재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모바일 앱에 자동으로 기록된다. 저장된 기록은 일, 주, 월 단위로 자동으로 정리된다. 환자는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 저장된 데이터를 의사에게 공유한다. 환자가 혈압을 따로 기록하지 않아도 돼 편리해졌다는 게 한국오므론 측 설명이다.
꾸준히 혈당치 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기기도 많다. 손 끝을 찔러 나는 피를 기기에 떨어뜨리면 저절로 혈당이 측정되고 혈압계와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스스로 정리되는 방식이다. 아이센스, 휴레이포지티브, 비비비 등 국내 업체들이 여기에 뛰어들었다. 한국로슈진단도 유사한 서비스를 올해 출시 예정이다.
김치원 서울와이즈재활요양병원장은 “사용하기 번거로워 건강 상태를 꾸준히 기록하고 관리하는 환자들은 드물다”며 “이 때문에 의사들도 진단을 내리고 처방을 하는 과정에서 객관적인 데이터보다는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에 의존할 때가 많은 게 현실”이라고 했다. 그는 “환자가 객관적인 데이터를 가져오면 의사 입장에서는 더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대중화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측정치를 기록하고 정리하는 것을 차치하더라도 혈압이나 혈당치를 지속적으로 재는 것 자체를 화자들이 번거로워하기 때문이다. 의료인-환자 간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의료법 때문에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들이 반쪽짜리로 묶여 있는 것도 제약으로 꼽힌다. 의사가 원격으로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진단을 내리거나 약을 처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환자들에게 굳이 적극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사용을 장려할 만한 유인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한국오므론은 최근 국내 시장에 블루투스 혈압계를 출시했다. 무선 혈압계를 이용해 혈압을 재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모바일 앱에 자동으로 기록된다. 저장된 기록은 일, 주, 월 단위로 자동으로 정리된다. 환자는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 저장된 데이터를 의사에게 공유한다. 환자가 혈압을 따로 기록하지 않아도 돼 편리해졌다는 게 한국오므론 측 설명이다.
꾸준히 혈당치 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기기도 많다. 손 끝을 찔러 나는 피를 기기에 떨어뜨리면 저절로 혈당이 측정되고 혈압계와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스스로 정리되는 방식이다. 아이센스, 휴레이포지티브, 비비비 등 국내 업체들이 여기에 뛰어들었다. 한국로슈진단도 유사한 서비스를 올해 출시 예정이다.
김치원 서울와이즈재활요양병원장은 “사용하기 번거로워 건강 상태를 꾸준히 기록하고 관리하는 환자들은 드물다”며 “이 때문에 의사들도 진단을 내리고 처방을 하는 과정에서 객관적인 데이터보다는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에 의존할 때가 많은 게 현실”이라고 했다. 그는 “환자가 객관적인 데이터를 가져오면 의사 입장에서는 더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대중화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측정치를 기록하고 정리하는 것을 차치하더라도 혈압이나 혈당치를 지속적으로 재는 것 자체를 화자들이 번거로워하기 때문이다. 의료인-환자 간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의료법 때문에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들이 반쪽짜리로 묶여 있는 것도 제약으로 꼽힌다. 의사가 원격으로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진단을 내리거나 약을 처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환자들에게 굳이 적극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사용을 장려할 만한 유인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