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로 맛있는 우유 만들어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KT-남양유업, IoT 가축관리서비스 ‘라이브케어’ 도입
전국 남양유업 목장에서 젖소 건강상태 실시간 점검·관리
전국 남양유업 목장에서 젖소 건강상태 실시간 점검·관리
SK텔레콤은 남양유업, 유라이크코리아와 협력을 맺고 IoT(사물인터넷) 가축 관리서비스 ‘라이브케어(Live Care)’를 도입한다고 6일 밝혔다.
남양유업 전국 6개 농장의 700두 젖소를 대상으로 라이브케어 서비스를 도입한다. 소의 첫 번째 위(반추위)에 IoT 통신 모듈을 탑재한 바이오캡슐을 투입해, 소의 체온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소의 질병 징후와 수정 적기 예측, 분만 징후 파악 등을 제공한다. 국내 최초로 경구 투여 동물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다.
이를 통해 ▲젖소의 발정/수정/분만 시기 알람 ▲구제역, 식체, 폐렴 등 질병 예찰 ▲전체 개체 In&Out ▲항생제 투여이력 등 스마트한 개체관리를 하게 된다. 남양유업은 젖소의 생체변화 및 건강상태를 실시간 확인해 보다 건강한 젖소로부터 최고 품질의 원유를 수급할 수 있게 됐다. 이 원유를 프리미엄 유기농 우유 ‘옳은’ 브랜드에 적극 도입할 방침이다.
라이브케어는 기존 체외 부착 제품과 달리 친환경 바이오캡슐을 위에 삽입하는 게 특징이다. 파손이나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체온변화를 통한 질병, 발정, 임신 등의 징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캡슐을 통해 측정된 소의 체온정보는 IoT 기지국을 통해 이상 징후 감지 시 농장주의 스마트폰이나 PC로 알림이 전송된다. SK텔레콤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바이오캡슐을 사용하는 모든 농가에 IoT 기지국 무상 설치를 지원한다.
SK텔레콤과 유라이크코리아는 투여된 바이오캡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합 관제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다. 특정 지역에 가축 체온 상승 등 이상 징후 발생 시 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한 단체 알람 송출, 개체 별 이동 상황 파악 등 IoT 기반 개체관리, 이력관리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3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유기농 소에 대한 투여 및 서비스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적용대상 목장확대, 신제품 홍보 및 마케팅 협력 등 상호간의 협력이 필요한 분야는 적극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소의 체내 데이터와 축사를 관리하는 목장주들의 경험 데이터도 함께 축적하고 이에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접목할 예정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남양유업 전국 6개 농장의 700두 젖소를 대상으로 라이브케어 서비스를 도입한다. 소의 첫 번째 위(반추위)에 IoT 통신 모듈을 탑재한 바이오캡슐을 투입해, 소의 체온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소의 질병 징후와 수정 적기 예측, 분만 징후 파악 등을 제공한다. 국내 최초로 경구 투여 동물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다.
이를 통해 ▲젖소의 발정/수정/분만 시기 알람 ▲구제역, 식체, 폐렴 등 질병 예찰 ▲전체 개체 In&Out ▲항생제 투여이력 등 스마트한 개체관리를 하게 된다. 남양유업은 젖소의 생체변화 및 건강상태를 실시간 확인해 보다 건강한 젖소로부터 최고 품질의 원유를 수급할 수 있게 됐다. 이 원유를 프리미엄 유기농 우유 ‘옳은’ 브랜드에 적극 도입할 방침이다.
라이브케어는 기존 체외 부착 제품과 달리 친환경 바이오캡슐을 위에 삽입하는 게 특징이다. 파손이나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체온변화를 통한 질병, 발정, 임신 등의 징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캡슐을 통해 측정된 소의 체온정보는 IoT 기지국을 통해 이상 징후 감지 시 농장주의 스마트폰이나 PC로 알림이 전송된다. SK텔레콤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바이오캡슐을 사용하는 모든 농가에 IoT 기지국 무상 설치를 지원한다.
SK텔레콤과 유라이크코리아는 투여된 바이오캡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합 관제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다. 특정 지역에 가축 체온 상승 등 이상 징후 발생 시 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한 단체 알람 송출, 개체 별 이동 상황 파악 등 IoT 기반 개체관리, 이력관리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3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유기농 소에 대한 투여 및 서비스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적용대상 목장확대, 신제품 홍보 및 마케팅 협력 등 상호간의 협력이 필요한 분야는 적극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소의 체내 데이터와 축사를 관리하는 목장주들의 경험 데이터도 함께 축적하고 이에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접목할 예정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