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임직원들은 지난달 20일 한라산에 올라 공적자산관리 전문기관으로의 새로운 도약을 결의했다.  캠코  제공
캠코 임직원들은 지난달 20일 한라산에 올라 공적자산관리 전문기관으로의 새로운 도약을 결의했다. 캠코 제공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올해 가계·기업·공공자산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공적자산관리 전문기관으로 도약하는 데 힘을 쏟기로 했다. 문창용 캠코 사장(사진)은 지난해 12월 이 같은 목표를 캠코의 새로운 비전으로 선포했다. 문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직원들에게 새 비전을 강조하며 “우리가 속한 사회에 더 큰 가치와 감동을 제공함으로써 캠코의 사회적 존재 가치를 드높이는 해를 만들자”고 강조했다.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캠코가 가계·기업·공공분야의 구조적 병목 문제를 해결하는 중심에 서 있다는 게 문 사장의 설명이다.

[혁신 속도내는 공기업] 캠코, 기업·투자자 매칭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 가동
캠코는 가계부문에선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관리 일원화, 장기소액연체채권 전담 정리, 주택담보대출 한계차주 지원 등 채무자의 실질적인 재기를 지원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캠코는 지난해 소멸시효 완성채권 등 100만 명이 넘는 채무자의 빚 14조원가량을 소각했다. 앞으로는 매년 상반기, 하반기에 소각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생계형 소액채무를 장기간 상환하지 못해 고통받고 있는 장기소액연체자에 대해서도 채무정리를 추진할 예정이다.

기업부문에서는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재기 지원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캠코는 기업구조조정 플랫폼 등 기업구조혁신 프로그램 수행, 담보부사채 신규 보증, 캠코선박펀드 및 세일즈앤드리스백 등 다양한 기업 정상화 프로그램을 마련해놓고 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8380억원의 캠코선박펀드를 조성해 16개 해운사 선박 41척을 매입했다. 세일즈앤드리스백으로 17개 기업에 232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도 했다.

캠코 관계자는 “올해는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구조조정 활성화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그동안 기업구조조정 시장에 풍부한 유동자금이 있는데도 투자자(자본시장)와 기업 간 정보 비대칭으로 투자자는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기업은 적기에 투자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캠코는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를 설치해 투자 대상 발굴을 원하는 투자자와 투자를 통해 정상화를 원하는 기업을 연결하는 기업구조조정 플랫폼 역할을 할 계획이다. 서울을 거점으로 다음달까지 전국 27개 지역에 오프라인센터를 설립하는 동시에 온라인 정보플랫폼도 구축한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기업·투자자 정보 조회와 투자 매치, 공적재기지원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이다. 자본시장과 중소·중견기업을 효율적으로 연결해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면 시장 중심의 기업구조조정이 활성화될 것으로 캠코 측은 기대했다.

아울러 회생기업 경영 정상화 지원프로그램도 도입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시장에서 소외된 회생기업 채권 결집, DIP 금융 지원(회생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등에 나서기로 했다. 올해 금융공공기관과 국책은행이 보유한 회생기업 채권 매입 및 DIP 금융 지원에 1500억원, 세일즈앤드리스백에 1500억원 등 총 3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캠코는 공공부문에서도 국유지 개발 등을 통해 사회적 가치 실현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국·공유지 개발사업에 성공하면 국민 편익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재정 부담을 낮출 수 있다. 올해는 새 정부 국유재산 정책방향에 따라 노후 청사를 공공임대주택으로 개발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국유지 내 노후 청사를 활용해 공공청사, 수익시설,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복합 개발하고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고령자 등 취약계층에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2022년까지 약 13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캠코 관계자는 “주변 시세의 70~80% 수준으로 주거비 부담을 낮춰 주거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도심재생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은 물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