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가 국민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절실합니다.”

장동경 삼성서울병원 정보전략실장은 7일 서울 반포동 쉐라톤서울팔래스강남호텔에서 열린 한경바이오헬스포럼 주제발표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법과 제도를 정비하려면 프레임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 허용, 개인 의료정보 활용 등의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계와 시민단체 등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소수 대형병원과 대기업에 부를 집중시킬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20년 넘게 규제에 발목이 잡혀 사업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장 실장은 “디지털 헬스케어를 ‘왜’ 추진해야 하는지를 찾아 설득해야 한다”고 했다. 2016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원격의료 만성질환 관리 사업을 예로 들었다. 그는 “원격의료를 통한 비(非)대면 진료에 의료수가를 적용하고 동네의원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참여 기관을 모집했더니 환자 만족도가 높았다”며 “지원한 의료기관이 예상보다 네 배나 많았을 정도로 의료계에서도 반응이 좋았다”고 했다. 적절한 보상을 하고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명분이 분명하면 의료계와 시민사회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거둘 것이라는 설명이다.

장 실장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성장으로 얻은 과실이 대형병원과 대기업에만 집중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들은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에서 나오고 있다”며 “대기업들도 이런 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게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잡아먹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장 실장은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의료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이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적극적으로 토양을 닦지 않으면 미래 세대의 건강권을 뺏고 밥그릇을 차버리는 꼴”이라고도 했다.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역설적이게도 산업을 이야기하지 않을 때 발전할 수 있다”며 “산업 발전을 말하기 전에 디지털 헬스케어가 국민과 의료인들에게 어떤 편익을 제공할 수 있을지 공론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