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는 지난 6일 기준 신용거래융자가 11조4037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사상 최대치는 5일의 11조4247억원이다.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을 합친 신용거래융자가 11조원을 넘어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신용거래융자는 지난해 1월 말 7조1292억원에서 1년여 만에 60% 늘었다.
지난해부터 주식시장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신용거래융자도 함께 증가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해도 은행 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낼 것으로 기대하는 투자자가 늘었다. 유진투자증권 DB투자증권 등 일부 중소형 증권사는 빌려줄 수 있는 돈이 부족해 신용거래융자 서비스를 일부 중단하기도 했다.
문제는 시장이 하락세로 돌아서거나 크게 출렁일 때다. 통상 신용매매는 주가가 주식담보비율 140% 밑으로 떨어지면 추가담보를 요구(마진콜)하거나 주식을 파는 반대매매가 일어난다. 가령 투자자가 자기 돈 500만원과 증권사에서 빌린 돈 500만원으로 1000만원어치 주식을 샀을 때 주식 가격이 빌린 돈의 140%에 해당하는 700만원 아래로 떨어지면 반대매매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5일부터 주가 변동성이 커지면서 주식시장에서 반대매매가 속출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5~7일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에서는 하루평균 152억원 규모의 반대매매 물량이 쏟아졌다. 지난달 하루평균 반대매매 금액(55억원)의 세 배에 가까운 물량이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