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2022년까지 80만개로 확대… 양질 일자리 제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제2차 노인일자리 종합계획 수립…능력 파악해 일자리 연결
전문 직업교육프로그램 개발·'실버보험' 도입·노인생산품 판로 확보 정부가 현재 46만7천개인 노인일자리를 5년 뒤인 2022년까지 80만개로 확대한다.
단순 일자리 제공이 아닌 개인 역량 평가를 기초로 한 양질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노인일자리 정책이 전환된다.
보건복지부는 사회보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2018-2022 제2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종합계획'(앙코르 라이프 플랜)을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제2차 노인일자리 종합계획은 '보람 있는 일, 활기찬 노후, 행복한 사회'라는 비전 아래 노인일자리 80만개 제공,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 확립, 노인 역량 강화, 사회활동 참여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한 20개 이행과제를 담고 있다.
'2013∼2017 제1차 종합계획'은 노인 일자리의 양적 확대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제2차 계획은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성장동력 약화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양질의 노인일자리를 통한 사회기여로 목표를 전환한다는 의미다.
정부는 앞으로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역량과 직무를 평가하고, 개인별 활동계획서에 기초해 적합한 일자리에 연계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직무역량지표를 개발하고 사이버대학, 직업전문대학 등과 협력해 노인 대상 전문적인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일하는 노인에 대한 보호도 강화해 '작업장/일자리 수요처 행동 강령'을 마련하고 안전사고 보상 강화를 위해 '실버보험' 도입을 검토키로 했다.
정부는 적합한 일자리를 발굴해 연결해주는 서비스 인프라도 구축한다.
우선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활용해 지역 내 일자리를 발굴하고, 발굴된 정보를 현행 노인일자리 포털인 '백세누리 시스템'에 올려 산재한 일자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또 그동안 없었던 노인 생산품 품질 관리 체계를 구축해 민간 노인일자리가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노인생산품의 낮은 인지도와 판로 제한 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수 노인생산품을 공동 브랜드화하고, 홈쇼핑과 온라인 쇼핑몰로 판로를 확대한다.
노인일자리 전달체계도 강화한다.
일자리 사업 참여기관을 기존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에서 사회적 경제기관으로 확대하고 일자리 부정수급 신고센터를 운영해 사업을 내실화한다.
이와 함께 일선 현장에서 노인일자리 참여자 모집, 활동처 및 활동 프로그램 발굴, 활동 관리 등을 담당하는 전담인력의 처우개선을 추진한다.
전담인력의 급여를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올해부터 고용기간을 현행 11개월에서 12개월로 확대한다.
정부는 노인을 전략 직종에 채용하거나, 장기 채용한 기업에 대해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수 노인고용기업으로 인증받으면 사회보험료, 홍보, 환경개선비 등을 지원받게 된다.
사회공헌을 희망하는 노인을 위한 일자리도 확대된다.
정부는 베이비부머, 전문직 은퇴자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해 치매공공후견인 등 사회적 공공서비스를 보완하는 일자리를 만든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은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 어르신이 더 오랫동안 사회에서 활동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이번 계획이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문 직업교육프로그램 개발·'실버보험' 도입·노인생산품 판로 확보 정부가 현재 46만7천개인 노인일자리를 5년 뒤인 2022년까지 80만개로 확대한다.
단순 일자리 제공이 아닌 개인 역량 평가를 기초로 한 양질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노인일자리 정책이 전환된다.
보건복지부는 사회보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2018-2022 제2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종합계획'(앙코르 라이프 플랜)을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제2차 노인일자리 종합계획은 '보람 있는 일, 활기찬 노후, 행복한 사회'라는 비전 아래 노인일자리 80만개 제공,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 확립, 노인 역량 강화, 사회활동 참여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한 20개 이행과제를 담고 있다.
'2013∼2017 제1차 종합계획'은 노인 일자리의 양적 확대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제2차 계획은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성장동력 약화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양질의 노인일자리를 통한 사회기여로 목표를 전환한다는 의미다.
정부는 앞으로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역량과 직무를 평가하고, 개인별 활동계획서에 기초해 적합한 일자리에 연계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직무역량지표를 개발하고 사이버대학, 직업전문대학 등과 협력해 노인 대상 전문적인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일하는 노인에 대한 보호도 강화해 '작업장/일자리 수요처 행동 강령'을 마련하고 안전사고 보상 강화를 위해 '실버보험' 도입을 검토키로 했다.
정부는 적합한 일자리를 발굴해 연결해주는 서비스 인프라도 구축한다.
우선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활용해 지역 내 일자리를 발굴하고, 발굴된 정보를 현행 노인일자리 포털인 '백세누리 시스템'에 올려 산재한 일자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또 그동안 없었던 노인 생산품 품질 관리 체계를 구축해 민간 노인일자리가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노인생산품의 낮은 인지도와 판로 제한 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수 노인생산품을 공동 브랜드화하고, 홈쇼핑과 온라인 쇼핑몰로 판로를 확대한다.
노인일자리 전달체계도 강화한다.
일자리 사업 참여기관을 기존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에서 사회적 경제기관으로 확대하고 일자리 부정수급 신고센터를 운영해 사업을 내실화한다.
이와 함께 일선 현장에서 노인일자리 참여자 모집, 활동처 및 활동 프로그램 발굴, 활동 관리 등을 담당하는 전담인력의 처우개선을 추진한다.
전담인력의 급여를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올해부터 고용기간을 현행 11개월에서 12개월로 확대한다.
정부는 노인을 전략 직종에 채용하거나, 장기 채용한 기업에 대해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수 노인고용기업으로 인증받으면 사회보험료, 홍보, 환경개선비 등을 지원받게 된다.
사회공헌을 희망하는 노인을 위한 일자리도 확대된다.
정부는 베이비부머, 전문직 은퇴자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해 치매공공후견인 등 사회적 공공서비스를 보완하는 일자리를 만든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은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 어르신이 더 오랫동안 사회에서 활동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이번 계획이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