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월성원전 전경.  /경상북도 제공
경북 경주시 월성원전 전경. /경상북도 제공
국내 시장만 14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원전해체산업의 핵심 기관이 될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를 유치하려는 경상북도와 부산시, 울산시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13일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2014년 경주지역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22만 명의 서명을 받아 정부에 전달했다. 부산시와 울산시도 2015년부터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유치 활동 및 관련 기업 육성과 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

경북 경주시 월성원전 전경. 경상북도 제공
경북 경주시 월성원전 전경. 경상북도 제공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 경쟁이 가속화하는 것은 원전해체산업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2020년 10기, 2070년까지 24기의 원전 중 23기가 해체 대상이다. 원전 1기당 해체 소요비용은 약 6000억원으로 국내 시장 규모만 14조원에 이른다. 해외 시장도 2070년까지 2653억달러에 이를 것이란 게 업계 분석이다.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는 “정부가 동남권에 연구소 설립 방침을 밝힌 데다 원자력안전위원회도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와 연계한 이전 방침이 알려지면서 유치 경쟁에 불이 붙었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용역을 계획 중이어서 오는 6월 지방선거 후 이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에는 유치 지역 결정을 위한 지방공모사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경북도는 국내 가동 원전의 절반인 12기와 원전해체를 담당할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원전설계 기업인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원전 유지보수를 맡는 한전KPS 원전서비스센터가 입주한 점을 내세우고 있다. 포스텍 및 동국대 원자력학과와 국내 유일의 원자력 마이스터고에서 인력도 양성하고 있다. 김세환 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경북은 원전의 설계-건설-운영-해체-처분으로 이어지는 원전산업 전 주기 사이클이 완성되는 국내 최적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시와 기장군은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를 유치해 ‘원자력산업의 메카’로 조성하기로 했다. 전국 최초로 원자력산업단지와 방사선의과학산업단지를 보유하고 있는 점을 활용할 전략이다. 시는 지난달 6개 구·군과 지역 내 대학, 연구기관과 원천해체산업육성협의회를 발족해 기업 및 전문가 양성에 나섰다. 3년간 2억원씩 투입해 원전해체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7~8개 원전해체 기업을 지원하고 연 3000만원씩 원전해체 전문인력 양성 비용을 지원해 5년 동안 전문가 100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원전해체 기술개발과 산업 육성을 위해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사업에 본격 나섰다. 시가 1억원을 지원하는 이 사업에 UNIST,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가 참여하기로 했다. 협회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 공동 연구과제 개발과 원전해체 관련 산·학 네트워크를 구성할 계획이다. 울산테크노파크는 원전해체 관련 산업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울주군과 울산상공회의소는 해체연구소 유치를 위한 시민 공감대 확산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다음달 유치 용역 결과가 나오면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건립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포항=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