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등 4개 대학 연구팀, 100배 선명한 홀로그램 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
내 4개 대학 공동연구팀이 홀로그램 화질을 현재의 100배 이상 선명하게 해줄 신기술을 개발했다.
서울대 공대는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노준석 포항공대 기계공학·화학공학과 교수, 이승열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 김휘 고려대 전자·정보공학과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고해상도·광시야각으로 완전하게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홀로그램은 3차원 영상을 재생하는 기술로, 미래 유망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해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이다.
공동 연구팀은 빛의 파장 크기보다 작은 수백㎚(1㎚는 10억 분의 1m) 소자들로 이뤄진 ‘메타표면’을 활용해 새로운 홀로그램 소자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X자 형태의 실리콘 나노 구조는 픽셀별로 빛의 세기와 위상 정보를 온전히 기록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8~10㎛(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한 기존 홀로그램 소자에 비해 100배 이상 높은 해상도를 나타낸다. 홀로그램을 얼마나 넓은 범위에서 관측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시야각’도 100도 이상으로 기존 10도에 비해 넓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나노스케일(Nanoscale)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이 교수는 “이를 실시간으로 변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실용화를 위한 관건”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서울대 공대는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노준석 포항공대 기계공학·화학공학과 교수, 이승열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 김휘 고려대 전자·정보공학과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고해상도·광시야각으로 완전하게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홀로그램은 3차원 영상을 재생하는 기술로, 미래 유망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해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이다.
공동 연구팀은 빛의 파장 크기보다 작은 수백㎚(1㎚는 10억 분의 1m) 소자들로 이뤄진 ‘메타표면’을 활용해 새로운 홀로그램 소자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X자 형태의 실리콘 나노 구조는 픽셀별로 빛의 세기와 위상 정보를 온전히 기록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8~10㎛(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한 기존 홀로그램 소자에 비해 100배 이상 높은 해상도를 나타낸다. 홀로그램을 얼마나 넓은 범위에서 관측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시야각’도 100도 이상으로 기존 10도에 비해 넓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나노스케일(Nanoscale)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이 교수는 “이를 실시간으로 변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실용화를 위한 관건”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