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패피처럼" … 쑥쑥 크는 키즈 브랜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동복 고성장에 진출 러시
부모·양가 조부모 지갑 여는 '식스포켓 트렌드' 겨냥
리바이스·지프, 키즈 라인 출시
탑텐·휠라는 제품군·매장 확대
패션업계 "경쟁 과열" 우려도
부모·양가 조부모 지갑 여는 '식스포켓 트렌드' 겨냥
리바이스·지프, 키즈 라인 출시
탑텐·휠라는 제품군·매장 확대
패션업계 "경쟁 과열" 우려도
패션업체들이 유아동 제품인 ‘키즈 라인’ 확대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주춤했지만 매년 10%대의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유아동복 부문에서 새로운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다. 성인용 패션 브랜드들도 키즈 라인을 새로 내놓거나 기존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성장 가능성 높은 시장
한세드림은 21일 ‘리바이스 키즈’ 브랜드 1호점을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에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리바이스 키즈의 판권을 확보한 이 회사는 앞으로 매장을 더 낼 예정이다. 상반기엔 백화점에 10개 매장을, 하반기엔 아울렛 중심으로 10개 매장을 추가로 연다. 은수빈 한세드림 마케팅팀장은 “리바이스의 강점인 데님 등이 키즈 라인에서도 사업성이 높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탑텐 등 브랜드를 운영하는 신성통상은 ‘탑텐 키즈’의 나이대를 3~13세로 넓히고 매장을 확대키로 했다. 탑텐 키즈는 백화점, 쇼핑몰, 마트 등에 33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올 상반기에 25개를 추가로 낼 예정이다. 가두점 매장을 확대하기 위해 이달 초 ‘탑텐 키즈 대리점 사업 설명회’를 열기도 했다. 신성통상 관계자는 “아이를 한 명만 낳아 키우는 사람이 늘면서 부모와 양가 조부모까지 아이에게 지갑을 여는 ‘식스포켓’ 트렌드가 확대되고 있다”며 “일반 성인복이 2~3%씩 성장하는 데 비해 아동복은 5~7%로 더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휠라코리아도 뛰어들었다. 지난해보다 ‘휠라 키즈’ 제품 수를 25% 늘릴 계획이다. 기존에는 백팩 등 가방 위주로 판매했지만 아동복, 신발 등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고 제품 다양화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세정과미래의 ‘니’는 지난해 키즈라인의 매출이 전년보다 2배가량 증가함에 따라 올해 30개 점포를 추가로 확대키로 했다. 갭 키즈도 올해 제품 수를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신규 브랜드도 가세
신규 아동복 브랜드도 나온다. 제이엔지코리아는 다음달 ‘지프 키즈’를 선보인다. 3~8세용 캐주얼 의류다. 성인복 ‘지프’의 대표 제품인 야상점퍼, 데님, 트레이닝복, 티셔츠 등을 만들어 온가족이 입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유통망은 지프의 대표매장 30여 개를 활용한다.
캐주얼 브랜드 ‘캉골’을 만드는 스페셜조인트그룹도 별도 법인 에스제이키즈를 설립하고 ‘캉골 키즈’를 준비 중이다. 올가을 첫선을 보이기 위해 지난해 말 사업부를 처음 꾸렸다.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로 콘셉트를 정하고 출시 준비에 들어갔다.
신규 키즈 브랜드까지 가세하면서 패션업계에서는 경쟁이 과열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국내 아동복 시장은 2015년엔 13.5%, 2016년엔 12.2% 고성장을 이어왔다. 하지만 지난해엔 1조1985억원 규모로 전년보다 8.4% 감소했다. 예상보다 저조한 매출을 낸 아동복 ‘톰키드’와 키즈아웃도어 ‘섀르반’은 브랜드를 접기로 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성인복보다 아동복의 성장세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무턱대고 진출하는 건 위험요소가 많다”며 “확실한 콘셉트, 가격, 디자인 등에서 경쟁력을 갖춘 브랜드가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성장 가능성 높은 시장
한세드림은 21일 ‘리바이스 키즈’ 브랜드 1호점을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에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리바이스 키즈의 판권을 확보한 이 회사는 앞으로 매장을 더 낼 예정이다. 상반기엔 백화점에 10개 매장을, 하반기엔 아울렛 중심으로 10개 매장을 추가로 연다. 은수빈 한세드림 마케팅팀장은 “리바이스의 강점인 데님 등이 키즈 라인에서도 사업성이 높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탑텐 등 브랜드를 운영하는 신성통상은 ‘탑텐 키즈’의 나이대를 3~13세로 넓히고 매장을 확대키로 했다. 탑텐 키즈는 백화점, 쇼핑몰, 마트 등에 33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올 상반기에 25개를 추가로 낼 예정이다. 가두점 매장을 확대하기 위해 이달 초 ‘탑텐 키즈 대리점 사업 설명회’를 열기도 했다. 신성통상 관계자는 “아이를 한 명만 낳아 키우는 사람이 늘면서 부모와 양가 조부모까지 아이에게 지갑을 여는 ‘식스포켓’ 트렌드가 확대되고 있다”며 “일반 성인복이 2~3%씩 성장하는 데 비해 아동복은 5~7%로 더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휠라코리아도 뛰어들었다. 지난해보다 ‘휠라 키즈’ 제품 수를 25% 늘릴 계획이다. 기존에는 백팩 등 가방 위주로 판매했지만 아동복, 신발 등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고 제품 다양화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세정과미래의 ‘니’는 지난해 키즈라인의 매출이 전년보다 2배가량 증가함에 따라 올해 30개 점포를 추가로 확대키로 했다. 갭 키즈도 올해 제품 수를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신규 브랜드도 가세
신규 아동복 브랜드도 나온다. 제이엔지코리아는 다음달 ‘지프 키즈’를 선보인다. 3~8세용 캐주얼 의류다. 성인복 ‘지프’의 대표 제품인 야상점퍼, 데님, 트레이닝복, 티셔츠 등을 만들어 온가족이 입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유통망은 지프의 대표매장 30여 개를 활용한다.
캐주얼 브랜드 ‘캉골’을 만드는 스페셜조인트그룹도 별도 법인 에스제이키즈를 설립하고 ‘캉골 키즈’를 준비 중이다. 올가을 첫선을 보이기 위해 지난해 말 사업부를 처음 꾸렸다.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로 콘셉트를 정하고 출시 준비에 들어갔다.
신규 키즈 브랜드까지 가세하면서 패션업계에서는 경쟁이 과열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국내 아동복 시장은 2015년엔 13.5%, 2016년엔 12.2% 고성장을 이어왔다. 하지만 지난해엔 1조1985억원 규모로 전년보다 8.4% 감소했다. 예상보다 저조한 매출을 낸 아동복 ‘톰키드’와 키즈아웃도어 ‘섀르반’은 브랜드를 접기로 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성인복보다 아동복의 성장세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무턱대고 진출하는 건 위험요소가 많다”며 “확실한 콘셉트, 가격, 디자인 등에서 경쟁력을 갖춘 브랜드가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