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들어 본격화된 증시 조정으로 펀드 ‘성적표’가 급격히 나빠진 가운데 중소형주 펀드의 성과가 돋보이고 있다. 국내 주식형 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지만, 중소형주 펀드는 꿋꿋하게 플러스를 지켜냈다. 중소형주 장세 기대감이 여전한 데다 손실방어 능력까지 확인되면서 개인투자자는 물론 기관투자가도 ‘뭉칫돈’을 밀어넣고 있다.
◆급락장서 개인·기관 베팅
21일 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 들어 국내 주식형 펀드(825개)의 평균 손익률(20일 기준)은 -0.28%로 집계됐다. 지난달 증시가 급등하면서 연초 이후 지난달 말까지 평균 수익률은 5.21%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코스피지수가 7.89% 하락하는 등 큰 폭으로 조정받으면서 수익률이 곤두박질쳤다.
하지만 중소형주 펀드(49개)는 달랐다. 연초 이후 평균 1.59% 수익률을 기록했다. 분야별 조사 대상 펀드 중 최상위권이다. 중소형주 펀드 중 KTB자산운용의 ‘리틀빅스타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8.01%에 달했다.
전경대 맥쿼리투자신탁운용 상무는 “증시가 고공행진하는 기간에도 조정이 오기만 하면 투자하겠다는 개인과 기관이 많았다”며 “이들 투자자가 중소형주 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정부의 코스닥시장과 벤처기업 활성화 대책 호재가 남아있는 데다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1, 2위 종목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조정이 이어지면서 대형주보다 중소형주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산운용사들은 이달 들어 코스닥시장에서 608억원을 순매수하며 코스닥시장 반등을 주도하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13일 663.92로 저점을 찍고 반등해 21일 727.17로 마감했다. 이 기간에 9.52% 올랐다.
이달 들어 자산운용사가 많이 사들인 종목은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권에 포진한 바이오주다. 셀트리온헬스케어를 891억원 순매수해 가장 많이 사들였다. 신라젠(491억원 순매수) 메디톡스(340억원) CJ E&M(246억원) 바이로메드(219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주도株 전망은 엇갈려
자산운용업계에선 펀드매니저의 역량 등에 따라 조만간 중소형주 펀드 간 명암이 갈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수아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밸류본부장은 “지금까지는 중소형주 시장에서 차별화 장세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다를 것”이라며 “개별 종목 위주로 차별 장세가 연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주도주 전망 또한 달랐다. 특히 의견이 갈리는 업종은 정보기술(IT) 업종이다. 민 본부장은 “IT라고 해도 일률적으로 좋다, 나쁘다를 말하기 어려운 국면”이라며 “휴대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관련 종목보다는 액정표시장치(LCD)에 대한 관심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진성 트러스톤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피해에 따른 낙폭과대주나 엔터테인먼트주, 게임주 등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미국 현지시간으로 다음달 20, 21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미국 금리정책 방향을 확인하기까지 눈치 보기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금리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이때를 기점으로 중소형주의 상승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DI동일은 오는 3월 열릴 정기주주총회에 감사위원회 설치와 관련된 안건을 상정하는 걸 이사회에서 심의·검토한다고 7일 밝혔다.작년 12월11일 공시한 경영투명성 강화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서다.DI동일은 작년 11월20일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따른 조치를 받고 매매거래가 정지됐다. 이에 따라 같은해 12월11일 회사는 △감사위원회 설치 △정헌재단과 회사와의 이사 겸직해소 △윤리경영위원회 설치 △내부회계관리제도 개선 △공시 내부교육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경영투명성 강화 계획을 공시했다. 경영투명성 강화 계획을 공시한 이튿날인 작년 12월12일 DI동일의 주식 매매거래가 재개됐다. DI동일은 감사위원회 우선 설치를 통해 독립성 강화를 바탕으로 견제와 균형의 역할을 충실히 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주주환원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은 지난해부터 이어져왔다. 지난해 11월 보유하고 있던 2426억원 규모, 약 15%의 자사주를 전량 소각했다.이에 더해 DI동일은 올해 6월까지 300억원가량을 투입해 소각 목적의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하겠다는 계획도 지난해 11월 말 공시했다.DI동일 관계자는 “합리적이고 투명한 경영, 균형 있는 의사결정을 위해 선제적으로 감사위원회를 도입하기로 했다”며 “감사위원회가 독립성을 가지고 '견제와 균형'의 역할을 충실히 행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감사시스템을 확립해 주주와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신뢰경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네이버가 7일 장중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연매출 10조원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젼해지면서다.7일 오전 9시39분 현재 네이버는 전일 대비 500원(0.22%) 오른 23만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네이버는 23만5500원에 거래를 시작하며 52주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호실적을 발표하자 매수세가 투자심리가 회복된 것으로 풀이된다. 개장 전 네이버는 작년 연간 매출이 10조7377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늘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2.9% 늘어난 1조9793억원, 연간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2조6644억원으로 24.9% 증가했다.지난해 4분기 매출은 2조8856억원, 영업이익은 542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3.7%, 33.7%씩 늘었다.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올해는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온디바이스 AI 전략을 본격 구현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면서 새로운 가치와 사업 기회를 창출해 궁극적으로 네이버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현대로템이 10% 넘게 급등하고 있다. 호실적을 발표한 덕에 전일에 이어 이틀째 10%대 급등세가 나타났다. 증권가에선 올해 영업이익이 1조원을 돌파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7일 오전 9시17분 현재 현대로템은 전일 대비 7700원(10.77%) 오른 7만9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에도 17.02% 상승한 데 이어 급등세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호실적 덕분이다. 현대로템은 작년 4분기 매출 4조3766억원, 영업이익 4565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전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2%와 117.4% 늘었다.영업이익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1648억원)를 소폭 밑돌았지만,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1400억원 상당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탓이라는 분석이다.K2 전차를 만들어 파는 디펜스 부문의 영업이익이 2763억원에 달했을 것으로 교보증권은 추정했다. 안유동 교보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률이 31%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수출 마진의 경우 41%라는 놀라는 수익성을 기록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호실적을 발표하자 증권가에선 현대로템에 대한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했다. 이날 현대로템의 작년 4분기 실적에 대한 리뷰(분석) 보고서를 낸 증권사 14곳이 모두 목표가를 올렸다.특히 위경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로템의 영업이익이 올해 1조원을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그는 “작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2차례 실적 추정치를 크게 상향한 바 있지만, 4분기 실적에 나타난 수출 수익성을 감안해 추정치를 추가로 상향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보수적 추정 방식을 유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