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미국땅 못밟는 중국 스마트폰…'아메리칸 드림' 수포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애플·삼성·LG 3강 굳건
美, 中 제품 경계 강화
美, 中 제품 경계 강화
중국 스마트폰의 '아메리칸 드림'이 문턱에서 멈췄다. 중국 스마트폰은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자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영토를 확장 중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만큼은 사뭇 다르다. 미국 내에서 중국 제품 진입을 경계하는 움직임에 불신 이미지까지 더해지면서 중국 스마트폰은 미국 땅을 밟지도 못하고 있다.
25일 미국 소비자매거진 컨슈머리포트에 따르면 최고 스마트폰 TOP 10 가운데 중국 제품은 HTC의 'U11' 이 유일했다. 1위부터 5위까지는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와 애플 '아이폰8' 시리즈가 휩쓸었고 '갤럭시노트8', 'LG G6', 'LG V30'이 뒤를 이었다.
미국 시장에서는 1위인 애플을 비롯한 삼성전자, LG전자가 3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은 33.2%의 점유율로 1위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23.2%, 17.6%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는 폭발적으로 글로벌 시장 영역을 넓히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의 입지와는 좀 다른 결과다. 중국 스마트폰은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고 디자인과 성능은 애플과 삼성전자의 최신 프리미엄폰에 필적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정작 미국에선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왜일까.
◆화웨이, 美 통신사에 연이어 퇴짜…美 정부 입김?
최근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시장조사업체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주요 중국 업체의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총 32.3%에 달했다. 1위 삼성전자와 2위 애플을 합친 것과 같은 수치다.
이는 중국 제조사들이 자국 시장에 이어 세계 2위 시장인 인도까지 평정하면서 얻은 결과다. 화웨이·샤오미·오보·비보 등 중국 제조사는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총 53%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국 제조사들은 자연스레 세계 최대 프리미엄 시장인 미국으로 눈을 돌렸다. 중저가 제품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였지만, 미국은 프리미엄 시장 안착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으로 여겨졌다.
중국 제조사들은 미국 시장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평균판매단가(ASP)를 개선한다는 목표가 있었다. 이에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자체 AI기술 등 최신 기술을 도입하며 미국 시장을 두드렸다. 하지만 중국 제조사들은 제품을 선보일 기회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가 급부상하는 중국 스마트폰의 영향력에 대해 경계심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화웨이가 미국 이동통신 업체인 AT&T를 통해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화웨이는 AT&T에 이어 버라이즌에도 퇴짜를 맞았다. 업계에선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경계 심리가 반영된 조치로 보고 있다.
◆보안 문제로 중국 스마트폰 불신 확대
보안과 관련된 불신문제도 크다. 최근 미국의 정보기관인 연방수사국(FBI)과 중앙정보국(CIA), 국가안보국(NSA) 등은 자국민들에게 화웨이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ZTE 제품을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관 수장들은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 출석, 화웨이와 ZTE 기기들을 통한 중국의 해킹을 우려하면서 이들 제품을 사용해선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화웨이 스마트폰과 ZTE 통신장비 등이 중국 정부의 정보수집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같은 이유로 미국 정부도 중국 스마트폰의 진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법안 마련을 추진중이다. 설령 중국 제조사들이 미국 진출에 성공한다도 해도 시장 점유율 확보는 쉽지 않아 보인다. 미국 내 깔려있는 중국 제품 자체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 산업계의 고질적인 제품 베끼기, 기술 도용에 많은 피해를 봤다는 인식이 있다. '짝퉁 아이폰'이 대표적이다. 이런 배경 때문에 미국 시장에서 중국 제품은 '짝퉁', '싸구려'라는 이미지가 각인돼 있다. 내구성과 사후서비스에 대한 의구심은 덤으로 따라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의 흐름은 결국 프리미엄이다. 때문에 중국에게 미국 시장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중국 제조사들은 미국에 진출하더라도 '베끼고 도용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벗는 게 급선무인데, 그마저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
25일 미국 소비자매거진 컨슈머리포트에 따르면 최고 스마트폰 TOP 10 가운데 중국 제품은 HTC의 'U11' 이 유일했다. 1위부터 5위까지는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와 애플 '아이폰8' 시리즈가 휩쓸었고 '갤럭시노트8', 'LG G6', 'LG V30'이 뒤를 이었다.
미국 시장에서는 1위인 애플을 비롯한 삼성전자, LG전자가 3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은 33.2%의 점유율로 1위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23.2%, 17.6%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는 폭발적으로 글로벌 시장 영역을 넓히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의 입지와는 좀 다른 결과다. 중국 스마트폰은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고 디자인과 성능은 애플과 삼성전자의 최신 프리미엄폰에 필적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정작 미국에선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왜일까.
◆화웨이, 美 통신사에 연이어 퇴짜…美 정부 입김?
최근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시장조사업체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주요 중국 업체의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총 32.3%에 달했다. 1위 삼성전자와 2위 애플을 합친 것과 같은 수치다.
이는 중국 제조사들이 자국 시장에 이어 세계 2위 시장인 인도까지 평정하면서 얻은 결과다. 화웨이·샤오미·오보·비보 등 중국 제조사는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총 53%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국 제조사들은 자연스레 세계 최대 프리미엄 시장인 미국으로 눈을 돌렸다. 중저가 제품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였지만, 미국은 프리미엄 시장 안착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으로 여겨졌다.
중국 제조사들은 미국 시장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평균판매단가(ASP)를 개선한다는 목표가 있었다. 이에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자체 AI기술 등 최신 기술을 도입하며 미국 시장을 두드렸다. 하지만 중국 제조사들은 제품을 선보일 기회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가 급부상하는 중국 스마트폰의 영향력에 대해 경계심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화웨이가 미국 이동통신 업체인 AT&T를 통해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화웨이는 AT&T에 이어 버라이즌에도 퇴짜를 맞았다. 업계에선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경계 심리가 반영된 조치로 보고 있다.
◆보안 문제로 중국 스마트폰 불신 확대
보안과 관련된 불신문제도 크다. 최근 미국의 정보기관인 연방수사국(FBI)과 중앙정보국(CIA), 국가안보국(NSA) 등은 자국민들에게 화웨이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ZTE 제품을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관 수장들은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 출석, 화웨이와 ZTE 기기들을 통한 중국의 해킹을 우려하면서 이들 제품을 사용해선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화웨이 스마트폰과 ZTE 통신장비 등이 중국 정부의 정보수집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같은 이유로 미국 정부도 중국 스마트폰의 진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법안 마련을 추진중이다. 설령 중국 제조사들이 미국 진출에 성공한다도 해도 시장 점유율 확보는 쉽지 않아 보인다. 미국 내 깔려있는 중국 제품 자체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 산업계의 고질적인 제품 베끼기, 기술 도용에 많은 피해를 봤다는 인식이 있다. '짝퉁 아이폰'이 대표적이다. 이런 배경 때문에 미국 시장에서 중국 제품은 '짝퉁', '싸구려'라는 이미지가 각인돼 있다. 내구성과 사후서비스에 대한 의구심은 덤으로 따라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의 흐름은 결국 프리미엄이다. 때문에 중국에게 미국 시장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중국 제조사들은 미국에 진출하더라도 '베끼고 도용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벗는 게 급선무인데, 그마저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