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화려한 개막식을 시작으로 17일간 뜨겁게 타오르던 평창 겨울올림픽의 성화가 꺼졌다.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린 평창올림픽은 특히 남북단일팀과 북한 응원단의 참가로 화해와 화합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대한민국은 안방에서 30년 만에 열린 올림픽인 평창올림픽에서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해으며 17개의 메달은 2010년 밴쿠버 대회(금 6·은 6·동 2)를 훨씬 뛰어넘는 한국의 역대 동계올림픽 최다 메달로 기록됐다.

평창올림픽 기간 우리를 울고 웃게 한 장면들을 모아봤다.

◆ 다시 보고 싶지 않은 최악의 순간

1. 여자 팀추월 '왕따논란'-은메달 따고 "죄송하다" 말한 김보름
눈물 흘리는 김보름(사진=연합뉴스)
눈물 흘리는 김보름(사진=연합뉴스)
김보름 박지우에 뒤처진 노선영(사진=연합뉴스)
김보름 박지우에 뒤처진 노선영(사진=연합뉴스)
평창올림픽 기간 중 뜨거웠던 논란은 누가 뭐래도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팀추월에서 나온 '왕따 논란'을 들 수 있다.

19일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팀추월 준준결승에서 믿을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됐다.

김보름, 노선영, 박지우가 팀을 이뤄 출전한 레이스 마지막에 김보름과 박지우가 갑자기 스피드를 올리며 3번 주자였던 노선영을 크게 따돌리고 골인한 것.

마지막 선수의 기록이 인정되는 팀추월 종목의 특성상 이해할 수 없는 플레이였다.

논란은 경기 직후 인터뷰에서 극대화됐다. 김보름은 '나와 박지우의 기록은 좋았는데 노선영 선수가 늦게 들어와서 기록이 저조했다'며 저조한 성적을 선배 노선영의 탓으로 돌리는 인터뷰를 했다.

논란이 거세게 일자 부랴부랴 빙상연맹은 대표팀 백철기 감독과 김보름 선수를 불러내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감독 또한 "노선영이 자청해서 후발주자를 한 것이다"라는 핵심을 빗나간 해명으로 논란을 키웠다.

결국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까지 선수들의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하라는 글이 수십만건의 동의를 얻을 정도로 논란은 커졌고 김보름은 24일 열린 주종목 매스스타트에서 은메달을 따고도 웃을 수 없었다.

'노선영 왕따' 논란을 일으킨 단지 두 선수의 문제가 아니라 빙상계 내부의 뿌리 깊은 파벌싸움의 결과라는 시각이 적지 않지만 성적을 떠나 선수끼리 밀고 끌어주는 화합의 모습을 보고 싶었던 국민들에게 가장 실망스러운 장면이었다.


2. 박영선 스켈레톤 특혜 응원
윤성빈 경기 관람 특혜 의혹에 휩사인 박영선 의원 /사진=연합뉴스
윤성빈 경기 관람 특혜 의혹에 휩사인 박영선 의원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2018 평창동계올림픽 최고의 '깜짝' 스타는 '아이언맨' 윤성빈이다. 아시아 최초 썰매 종목 금메달, 대한민국 최초 설상 종목 금메달 등 스켈레톤 종목 최초 타이틀을 여럿 가져가며 16일 설날 연휴를 시작한 국민을 향해 '금빛 세배'를 했다.

이날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금메달을 딴 윤성빈 선수의 평창 올림픽 슬라이딩센터 경기 때 피니시 라인(Finish Line)에 등장해 '정치인의 인지도를 위한 무리한 행동 아니냐'는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규정상 피니시 라인에서 들어가기 위해서는 AD카드(Accreditation Card)를 소지해야 하며 일반 입장 티켓만으로는 이 구역에 입장할 수 없다. 윤성빈 선수의 직계 가족들도 들어가지 못한 피니시 라인 구역에 입장한 박 의원에 대해 '특혜 입장' 논란이 일었다.

박 의원은 논란이 일자 자신의 페이스북에 "설날이라 다른 날보다 응원 오는 사람이 적을 것 같아 응원 왔다"고 설명했지만 냉담한 여론을 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자, 박 의원은 17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16일 IOC에서 발행하는 '초청 게스트 (패스)'로 경기장에 가게 되었고, 올림픽훼밀리 라운지에서 다른 분들과 함께 안내받아서 이동했다"고 해명하면서도 "본의 아니게 특혜로 비쳐져 국민 여러분께 죄송스런 마음"이라고 사과했다.

조직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박 의원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고위인사 초청(Distinguished guest pass)을 받아 슬라이딩센터를 방문했다"라며 "16일의 경우 이보 페리아니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IBSF) 회장이 윤성빈 선수의 금메달 획득을 감안해, 피니시 구역의 IBSF 게스트존에 있던 강신성 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 회장과 박 의원을 포함한 일행들을 통제구역인 피니시 구역의 썰매 픽업 존으로 안내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직위는 "앞으로 경기장은 물론 대회 시설에 대한 출입 통제에 더욱 철저를 기하도록 하겠다"라고 진화했다.


3. 캐나다의 조슬린 라로크 '사상초유' 은메달 보이콧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캐나다 여자하키 우울한 은메달(사진=연합뉴스)
캐나다 여자하키 우울한 은메달(사진=연합뉴스)
22일 강릉하키센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캐나다는 연장전에 슛 아웃까지 치르는 혈투 끝에 미국에 2대3으로 패했다. 올림픽 5연패를 노리던 캐나다 여자 아이스하키팀이 오랜 라이벌 미국에 20년 만에 금메달을 내준 것이다.

캐나다 선수들은 울음을 터뜨리는 등 실망한 기색을 역력히 드러냈다. 이후 열린 시상식에서 동료 선수들 사이에 서 있던 캐나다 수비수 조슬린라로크는 목에 은메달을 걸자마자 곧바로 벗어 손에 들었다. 이 장면은 방송 카메라에 그대로 포착됐고 시청자들은 분노했다. 스포츠맨십에 어긋난다는 것.

라코크는 각종 언론에 실리는 비난 수위가 점점 올라가자 23일 오후 성명서를 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사과했다. 그는 “경기 결과에 실망을 벌인 행동일 뿐”이라며 “나는 캐나다를 대표해 올림픽에 나서 메달을 딴 것이 자랑스럽다. 나의 행동에 대해서는 사과하고 싶다”고 밝혔다.


4. '화합 등돌린' 김미화 개막식 사회
김미화 개막식 사회 자질 논란
김미화 개막식 사회 자질 논란
김미화 개막식 사회 자질 논란
김미화 개막식 사회 자질 논란
김미화는 지난 9일 방송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중계방송에 박경추 아나운서와 허승욱 해설위원과 함께 출연해 입장하는 가나 선수들을 보며 “아프리카 선수들은 지금 눈이라곤 구경도 못 해봤을 것 같다”는 발언을 해 자격 논란에 휘말렸다.

스키 선수 출신인 허 해설위원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스키장이 있다. 아프리카라고 스키를 안 타는 건 아니다”라며 발언을 정정했다.

김미화는 이어 남북 선수단이 공동입장할 때 "올림픽 잘 안 되길 바라셨던 분들도 계실 텐데 진짜 평창이 다 녹을 때까지 손들고 서 계셔야 한다"고 편가르기 발언을 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방송의 후폭풍은 거셌다. 시청자들은 김미화의 캐스팅에 의문을 제기했을 뿐더러 그의 실언에 가까운 발언 및 방송 태도 등을 비판했다.

이에 김미화는 11일 자신 SNS를 통해 “‘가랑비에 속옷 젖는다’더니 일베(온라인 커뮤니티 ‘일간베스트’를 지칭)들의 악의적인 밤샘 조리돌림으로 일부 비난이 ‘여론’이 되는 현실이 매우 안타깝습니다”라는 변명에 가까운 사과를 올려 논란을 키웠다.


5. '평창올림픽'에도 빠질 수 없었던 갑질
이기흥 대한체육회장(가운데) 사진=연합뉴스
이기흥 대한체육회장(가운데)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한체육회의 수장 이기흥 회장은 갑질 논란으로 도마위에 올랐다.

개막 7일째였던 지난 15일, 자원봉사자 및 계약직 운영인력 익명 커뮤니티인 '평대전(평창올림픽 대신 전해드립니다)'에 이기흥 회장의 행동과 발언을 고발하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게시물에는 이기흥 회장을 비롯한 체육회 관계자들이 평창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센터 올림픽패밀리(OF)석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예약석을 무단으로 차지했고, 자원봉사자가 자리를 옮겨달라는 말도 듣지 않았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이 회장이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오면 비키겠다", 이 회장의 수행원이 "야, IOC 별거 아니야. 우린 개최국이야. 머리를 좀 써라"고 말했다는 내용도 포함돼 파문이 일었다.

대한체육회는 즉각 "이기흥 회장의 AD카드는 문제가 된 올림픽 패밀리(OF)석에 앉을 권한이 있는 카드"라며 "예약석 표시도 없어서 이 회장이 그 자리에 앉은 것인데, 자원봉사자가 와서 일어나라고 하니 '개최국 위원장인데 우리도 앉을 수 있다. 바흐 위원장이 오면 만나고 가겠다'라고 말한 부분이 확대 해석됐다"고 해명했다.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이 회장은 결국 직접 자원봉사자를 만나 사과의 뜻을 전한 뒤 "평창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헌신하며 책임을 다하고자 한 자원봉사자들의 노고를 깊이 존중한다"며 "남은 기간 함께 노력해나가자"고 격려 메시지를 남겼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