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9 본격 판매를 앞둔 삼성전자는 이런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짰다. 삼성전자가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최경식 부사장은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는 건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라며 “글로벌 차원에서 크게 세 가지 전략을 활용해 S9으로 교체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첫 번째 전략은 ‘트레이드 인(보상 판매)’이다. 오는 6월까지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자가 쓰던 휴대폰을 반납하고 S9을 사면 기존 휴대폰의 잔존가(중고제품으로서 가치)에 5만~10만원을 더 얹어 환급해준다.
트레이드 인은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선 종종 있었지만 국내에서 신제품 발매와 동시에 대규모로 이뤄지는 건 이례적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와 노트 시리즈 외에도 애플 등 경쟁사 제품까지 보상 판매 대상에 포함했다.
두 번째로 ‘체험 마케팅’을 확대한다. 삼성전자는 이날 국내 주요 도시 핵심 상권 100여 곳과 모바일 특화 매장 4000여 곳에서 S9과 S9플러스를 사용해 볼 수 있는 ‘갤럭시S9 스튜디오’ 운영에 들어갔다. 이영희 삼성전자 부사장은 “스튜디오 행사는 수년째 해 온 것이지만 이번엔 글로벌 차원에서 규모를 더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S9에서 새로 선보인 증강현실(AR) 이모지, 슈퍼 슬로모션, 저조도 촬영 등 핵심 기능의 장점을 널리 알려 구매를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이 부사장은 “S9을 직접 만져보기 전에는 큰 기대를 하지 않다가 써 보면 ‘생각보다 재밌다’ ‘갖고 싶다’는 반응이 많다”며 “어떻게든 소비자가 많이 접하고 재미를 느껴보게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했다.
세 번째로 ‘고객 데이터 마케팅’을 강화하기로 했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소비자 데이터를 활용해 교체 주기가 어정쩡하게 남은 이들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2년 전 S7을 구입한 소비자가 주된 대상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사장)은 이날 S9의 올해 판매량 목표치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S9은 S8보다 출시 시점이 앞당겨졌고 세 가지 마케팅 전략도 준비한 만큼 전작보다 더 많이 판매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S8이 지금까지 3700만~3900만 대가량 팔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칸타월드패널에 따르면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 도심지역 스마트폰 교체 주기는 2013년 18.6개월에서 2016년 20.2개월로 늘었으며 계속 길어지는 추세다.
바르셀로나=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