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경기 두달 연속 악화…제조업체 1년1개월만에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의 체감경기가 두 달 연속 악화했다. 제조업 체감경기는 1년1개월 만에 가장 나빴다. 철강과 같은 1차 금속, 전자업종 등의 체감경기가 식었으며 미국 통상압박도 일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제조업의 경기실사지수(BSI)는 77로 한달 전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다. 기준값(100)을 밑돌면 경기를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인식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업황 BSI가 75로 한달 사이 2포인트 떨어졌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해 1월(75) 이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 중에서도 대기업(83)이 2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64)은 1포인트 상승했다. 제조 수출기업의 업황 BSI(84)는 2포인트 떨어진 반면 내수기업의 업황 BSI는 71에서 제자리 걸음 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을 보면 전자(87)가 전월보다 6포인트, 1차 금속(66)이 17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전자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 판매 부진에 따라 부품 수주가 부진했고 1차 금속은 조선·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탓으로 분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철강 부문에선 미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영향도 약간은 작용했다"면서도 "미국 상무부가 철강 수입 규제를 권고한 상태지만 말 그대로 권고일 뿐 세율 등을 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달에는 반영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80에서 79로 1포인트 떨어졌다. 건설업(69)에서 5포인트, 전기가스업(100)에서 9포인트 하락한 영향이 컸다.
반면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언론사들의 기업 광고 매출이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출판 영상방송서비스업에서는 82에서 89로 상승했다.
다음 달 전체 산업의 업황전망 BSI는 82로 한 달 전 전망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 업황전망 BSI는 82로 5포인트, 비제조업도 82로 한 달 전보다 4포인트 각각 올랐다.
한은 측은 "2월 명절 때문에 영업 일수가 감소해 업황이 나빠지는 현상이 있었다"며 "3월엔 3·1절을 빼면 특별한 휴일이 없어 정상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제조업의 경기실사지수(BSI)는 77로 한달 전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다. 기준값(100)을 밑돌면 경기를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인식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업황 BSI가 75로 한달 사이 2포인트 떨어졌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해 1월(75) 이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 중에서도 대기업(83)이 2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64)은 1포인트 상승했다. 제조 수출기업의 업황 BSI(84)는 2포인트 떨어진 반면 내수기업의 업황 BSI는 71에서 제자리 걸음 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을 보면 전자(87)가 전월보다 6포인트, 1차 금속(66)이 17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전자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 판매 부진에 따라 부품 수주가 부진했고 1차 금속은 조선·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탓으로 분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철강 부문에선 미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영향도 약간은 작용했다"면서도 "미국 상무부가 철강 수입 규제를 권고한 상태지만 말 그대로 권고일 뿐 세율 등을 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달에는 반영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80에서 79로 1포인트 떨어졌다. 건설업(69)에서 5포인트, 전기가스업(100)에서 9포인트 하락한 영향이 컸다.
반면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언론사들의 기업 광고 매출이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출판 영상방송서비스업에서는 82에서 89로 상승했다.
다음 달 전체 산업의 업황전망 BSI는 82로 한 달 전 전망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 업황전망 BSI는 82로 5포인트, 비제조업도 82로 한 달 전보다 4포인트 각각 올랐다.
한은 측은 "2월 명절 때문에 영업 일수가 감소해 업황이 나빠지는 현상이 있었다"며 "3월엔 3·1절을 빼면 특별한 휴일이 없어 정상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