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부진에… 늘어나는 '좀비기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위기업 부가가치 창출
선도그룹의 9분의 1 수준
선도그룹의 9분의 1 수준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으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벌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면 총생산성이 떨어지고 임금 격차도 커진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은 7일 ‘우리나라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 배경과 총생산성 및 임금 격차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에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선도기업의 기술 우위보다 후행기업의 역동성 저하에 주로 기인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2015년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생산성 상위 5% 기업(선도기업)과 나머지 기업(후행기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은에 따르면 선도기업과 후행기업의 생산성 격차는 2000년대 이후 확대되는 추세다. 2015년 노동생산성으로 보면 선도기업은 근로자 1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7억100만원이었지만 후행기업은 9분의 1 수준인 7800만원에 불과했다. 명목임금은 선도기업이 2억4300만원으로 후행기업(6600만원)의 3.7배로 분석됐다. 한은은 이런 생산성 격차는 후행기업의 생산성이 선도기업보다 더디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한국은행은 7일 ‘우리나라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 배경과 총생산성 및 임금 격차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에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선도기업의 기술 우위보다 후행기업의 역동성 저하에 주로 기인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2015년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생산성 상위 5% 기업(선도기업)과 나머지 기업(후행기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은에 따르면 선도기업과 후행기업의 생산성 격차는 2000년대 이후 확대되는 추세다. 2015년 노동생산성으로 보면 선도기업은 근로자 1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7억100만원이었지만 후행기업은 9분의 1 수준인 7800만원에 불과했다. 명목임금은 선도기업이 2억4300만원으로 후행기업(6600만원)의 3.7배로 분석됐다. 한은은 이런 생산성 격차는 후행기업의 생산성이 선도기업보다 더디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