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명했지만… 논란 커지는 금감원장 채용청탁 의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 원장 "지인 아들 건은 추천이지 청탁 아니었다"
금감원 "최 원장 결백…하나은행이 밝혀달라" 요구
정치권 "검찰이 수사해야"
금감원 "최 원장 결백…하나은행이 밝혀달라" 요구
정치권 "검찰이 수사해야"
![해명했지만… 논란 커지는 금감원장 채용청탁 의혹](https://img.hankyung.com/photo/201803/AA.16182648.1.jpg)
“최 원장 부정 증거 제시하라” 요구
최 원장은 자신이 지인의 아들을 특혜 채용하도록 관여했다는 의혹과 관련, “하나금융 사장으로 있을 때 외부에서 채용과 관련한 연락이 와서 단순히 이를 전달했을 뿐 채용 과정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지난 10일 밝혔다.
![해명했지만… 논란 커지는 금감원장 채용청탁 의혹](https://img.hankyung.com/photo/201803/AA.16184015.1.jpg)
금감원은 이와 함께 하나은행에 최 원장의 친구 아들이 하나은행에 채용됐던 2013년 당시 점수 조작이나 채용기준 변경이 있었는지 11일 오전까지 확인해달라고 공식 요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권 채용비리를 검사하는 감독당국의 장(長)이 채용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초유의 사태인 만큼 사실 여부를 하나은행이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측은 이에 대해 “최 원장이 특정 인물을 추천한 것은 사실이지만 채용과정에 개입하거나 이로 인해 하나은행이 해당 인물의 평가 점수를 조작한 사실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입장을 내놨다.
하나은행 관계자의 전화 설명을 통해서다. 하나은행은 또 최 원장의 채용비리 의혹으로 제기된 내용에 대해선 ‘VIP 추천제도’를 오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영업 강화 차원에서 거래처 임원 등이 추천한 인물에 대해 하나금융 내부자가 평가한 뒤 추천해 주는 제도가 있었다”고 말했다.
여야 정치권 일제히 비판
정치권은 여야를 막론하고 최 원장의 채용비리 의혹에 대해 일제히 비판했다. 특히 야당은 조속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자유한국당은 지난 10일 공식 논평을 통해 “최 원장 의혹이 사실이라면 취업이 어려운 시기에 청년들의 꿈을 짓밟은 천인공노할 일”이라며 “국내 은행 다섯 곳에서 22건의 채용비리 정황을 적발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금융당국의 수장이 비리 의혹의 장본인이 됐다”고 지적했다.
김철근 바른미래당 대변인도 11일 논평에서 “은행권 감독기관의 장인 금감원장이 채용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은 금감원의 자체 조사로는 설득력이 없다”며 “검찰이 최 원장에 대한 의혹도 엄정하게 수사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장정숙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현직 금융 수장이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상황에서 자체 조사는 국민적 신뢰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필요하면 검찰조사를 통해 한 점 의혹도 남기지 말고 밝혀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제윤경 원내대변인은 “최 원장은 반성하기는커녕 연락이 온 것을 단순히 전달했을 뿐이라는 황당한 답변을 했다”며 “금융지주 사장이 특정 인물에 대한 내용을 전달한 것이 암묵적 추천이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박신영/윤희은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