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cts/201803/8c5d9f1a49e4aad7e730b9733860c4aa.jpg)
신한카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과 공동 진행한 ‘2017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소비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중장년층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으로 월 평균 300만원 이상을 버는 비중이 50대는 42.5%, 40대는 38.7%로 30대(32.5%)와 20대(14.3%) 1인 가구보다 높았다. 그러나 월 평균 카드 이용금액은 50대가 30대의 62% 수준에 그쳤다. 40대와 50대 1인 가구는 의료·교통에 소비하는 비중이 각각 34.7%, 34.6%로 20대(24.3%)와 30대(27.5%)에 비해 높았다. 반면 외식·쇼핑의 소비 비중은 40대는 60.1%, 50대는 59.3%로 20대(69.7%)와 30대(67%)에 비해 낮았다.
중장년층 1인 가구는 경제적으로 어렵다는 응답은 다른 세대에 비해 적었지만 감성적으로 어렵다는 응답 비중은 높았다. 20대와 30대 1인 가구는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응답한 비중이 각각 63.4%, 48.2%였지만 40대와 50대는 37.4%, 37.0%에 그쳤다. 반면 감성적으로 어렵다는 응답은 50대 47.9%, 40대 43.9%로 30대(41.3%)와 20대(33.3%)보다 높았다. 뿐만 아니라 혼자 생활할 때 여가활동이 불편하다는 응답은 20~30세대는 평균 16.2%에 그쳤지만 40~50세대는 25.3%로 높았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1인 가구 중 중장년층 여성은 쇼핑 및 여가활동에 관심이 높았다”며 “앞으로 고객 생활 습관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