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지난 1월에 167억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를 팔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은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미 국채의 매입 속도를 늦추거나 매입을 중단하는 방안을 권고했다”고 보도했던 때다. 중국이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한 보복 카드로서 미 국채 매도를 시작한 게 아니냐라 관측이 나온다.

미국 재무부가 15일(현지시간) 공개한 국채 통계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월 167억달러 어치의 국채를 팔아치워 총 보유규모를 1조1682억달러로 줄였다. 중국의 보유 규모는 작년 7월 이후 가장 적다. 중국은 지난해 7월 1조2017억달러에 달하는 미 국채를 가졌었지만, 이후 조금씩 줄여왔다. 다만 이런 규모는 2위인 일본의 국채 보유량(1조658억달러)보다는 많아 여전히 세계 1위다.

그동안 미국 채권 시장에선 중국이 미 국채를 매도할 것이라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지난 1월 월스트리트저널 보도때는 미국 금융시장이 일대 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최근 미국은 대중 무역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연 600억달러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기업의 미국내 투자와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 등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도 보복을 다짐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13일 중국이 미 국채를 매도해 미국 경제를 압박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만약 중국이 미 국채를 내다 팔기 시작하면 이는 미 국채 시장과 금리, 증시 등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

게다가 미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 및 미국 재무부의 국채 발행 증가 영향으로 미 채권 값은 최근 하락해왔다. 투자 매력이 낮아지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이 이를 빌미로 미 채권 매입을 늦추거나 중단하는 식으로 미국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비자이 파텔 ING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철강 관세에 대응해 같은 규모의 미국 상품에 보복관세를 물리거나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수 있지만, 이 같은 방안은 직접적 마찰을 부르거나 시간이 걸린다”며 “미 국채 매입을 줄이는 식으로 간접보복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