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살롱 문토, 장준우 셰프가 이끄는 ‘생각하는 주방’. 이승재 기자 fotoleesj@hankyung.com
소셜살롱 문토, 장준우 셰프가 이끄는 ‘생각하는 주방’. 이승재 기자 fotoleesj@hankyung.com
‘취향 공동체’가 뜬다. 같은 관심사를 공유하고 즐기는 크고 작은 모임에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요즘 뜨는 모임의 특징은 취향의 세분화와 취향의 전문화다. 색다른 취향을 개발하고 함께 생각과 감정을 나누며 더 나은 삶을 모색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투자한다.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 열풍은 ‘퇴근 후의 삶’이라는 화두를 이끌었다. 일상의 활력을 잃어가던 데서 다시 생동감 넘치는 인생의 주인공으로 변화하는 것의 시작은 ‘내면의 목소리’를 꺼내는 데 있다. 개인의 기호와 관심사, 즉 ‘취향’이 있는 삶이다.

소모임(직장인 취미생활 앱), 프립(소셜 액티비티 앱), 에코라이후(경제·인문 독서 모임), 트레바리(멤버십 독서 토론 클럽), 버핏서울(식습관 개선을 위한 운동 모임), 라이프쉐어(어른들을 위한 캠프)와 같은 취향 공동체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확실한 콘셉트가 있고, 모이는 사람들도 뚜렷한 취향을 드러낸다.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더 색다르거나, 더 특화됐거나.

취미나 취향을 혼자 즐기는 것과 여럿이 모여 함께하는 것은 또 다른 일이다. 무엇보다 개인의 소소한 관심사를 함께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나누면서 감상하는 힘을 배양하게 된다. 아름다움을 느끼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미감, 또 생각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작은 담론이 형성된다.

독서 모임인 에코라이후에서 2년째 활동하고 있는 이정민 씨(34)는 책 한 권을 내는 것을 목표로 매주 글을 쓰며 “인생이 풍요로워졌다”고 말한다. 외국계 회사에서 마케팅을 담당하는 그는 평범한 직장인도 책을 몇 권씩 낼 줄 알아야 한다는 지론을 갖게 됐다.

한때 취미는 ‘배부른 소리’였다. 과시나 겉치레에 급급한 이미지를 얻기도 했다. 이제는 “취미가 뭐예요?”라는 질문에 ‘음악 감상’ ‘독서’ ‘공연 보기’는 너무 단순한 답이 됐다. 취미는 곧 나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이다.

피에르 부르디외의 ‘구별 짓기’에 따르면 자신만의 독특한 취향을 키워 간다는 것은 그 사람의 지위와 관련이 있다. 돈을 쌓는 것 못지않게 새로운 경험을 쌓는 것이 자산이 되는 시대다.

김진국 문화심리학자는 “최근 특색 있고 개성 있는 취미·취향 모임이 늘어나는 것은 집단주의에 매몰됐던 사람들이 개인주의의 가치를 중시하면서 일과 놀이, 공과 사를 확실하게 구분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이현주 한경머니 기자 ch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