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비중 높아지면 국부유출도 심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태양광·풍력·바이오에너지의 '두 얼굴'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팜오일·펠릿 대부분 수입
에너지 안보도 위협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팜오일·펠릿 대부분 수입
에너지 안보도 위협
한국은 바이오디젤과 바이오매스의 주원료인 팜오일(팜유)과 목재 펠릿을 대부분 수입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일수록 국부 유출이 심해지고,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위험성이 커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야자나무의 한 종류인 팜나무는 과육에서 기름을 짜낼 수 있는데, 이를 팜오일이라고 부른다. 팜오일은 라면과 과자를 튀길 때 쓰는 식용유로 사용되며 비누와 화장품, 바이오디젤 원료까지 다양하게 쓰인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세계 생산량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팜오일 생산이 거의 불가능하다.
한국바이오에너지협회에 따르면 2016년 바이오디젤 원료 44만4500t 가운데 외국산 팜 부산물과 팜 정제유 등의 비중은 59.5%(26만4300t)에 달한다. 올해부터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이 2.5%에서 3.0%로 인상된 만큼 외국산 원료 비중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목재 펠릿은 수입 의존도가 95%를 웃돈다. 산림청에 따르면 2016년 국내에서 소비한 목재 펠릿 176만9213t 가운데 외국산 제품은 97%(171만6641t)에 달했다. 2012년 70% 수준이던 수입 의존도는 2013년 88.0%, 2015년 95.4% 등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영국과 덴마크에 이어 세계 3위 목재 펠릿 수입국이다.
최근엔 목재 펠릿 수요가 늘다 보니 목질계 폐기물(BIO-SRF)로 만든 불량 제품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다. 관세청 집계 결과 지난해 BIO-SRF 적발 규모는 5211t으로, 2016년(1067t)의 다섯 배 정도로 급증했다. 이들 제품엔 화학성분이 많이 포함돼 있어 연소 시 오염물질 배출량도 많은 편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야자나무의 한 종류인 팜나무는 과육에서 기름을 짜낼 수 있는데, 이를 팜오일이라고 부른다. 팜오일은 라면과 과자를 튀길 때 쓰는 식용유로 사용되며 비누와 화장품, 바이오디젤 원료까지 다양하게 쓰인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세계 생산량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팜오일 생산이 거의 불가능하다.
한국바이오에너지협회에 따르면 2016년 바이오디젤 원료 44만4500t 가운데 외국산 팜 부산물과 팜 정제유 등의 비중은 59.5%(26만4300t)에 달한다. 올해부터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이 2.5%에서 3.0%로 인상된 만큼 외국산 원료 비중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목재 펠릿은 수입 의존도가 95%를 웃돈다. 산림청에 따르면 2016년 국내에서 소비한 목재 펠릿 176만9213t 가운데 외국산 제품은 97%(171만6641t)에 달했다. 2012년 70% 수준이던 수입 의존도는 2013년 88.0%, 2015년 95.4% 등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영국과 덴마크에 이어 세계 3위 목재 펠릿 수입국이다.
최근엔 목재 펠릿 수요가 늘다 보니 목질계 폐기물(BIO-SRF)로 만든 불량 제품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다. 관세청 집계 결과 지난해 BIO-SRF 적발 규모는 5211t으로, 2016년(1067t)의 다섯 배 정도로 급증했다. 이들 제품엔 화학성분이 많이 포함돼 있어 연소 시 오염물질 배출량도 많은 편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