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상속 자산이전 규모 100조원 돌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나금융硏, '절세 고려' 증여세 신고 건수도 늘어나…4년 새 49.3% ↑
고령화와 자산가치 상승세가 맞물리면서 당장 2년 뒤 국내에서 상속을 통해 이전되는 자산 규모가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1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60세 이상 가구당 자산 규모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에 따르면 상속을 통한 세대 간 자산이전 규모는 2016년 81조원에 이른다.
연구소는 가구당 순 자산(지출 제외)과 상속세 비과세 대상인 60세 이상 사망자 수를 곱해사망에 따른 상속자산 규모를 추정했다.
여기에 국세청이 집계한 상속 재산가액인 12조8천억원을 더하면 총 81조원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2020년에는 상속 자산이전 규모가 104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사망 전 증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 증여세 신고 건수는 2012년 7만7천789건이었지만 2016년에는 11만6천111건으로 단 4년 만에 49.3% 늘었다.
이는 상속보다는 장기간에 걸친 증여가 절세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최근 다주택자 규제가 강화되면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자산이전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다.
상속·증여 등 세대 간 자산이전이 금융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른 이유는 고령화와 자산가치 상승 때문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의 경제가 급속 성장하면서 부동산과 금융자산 가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6년 주택 시가총액은 3천732조원으로, 10년 만에 80.0% 상승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역시 2007년에서 2017년 사이 68.7% 증가했다.
이 덕에 노년층이 쥐고 있는 자산 규모도 많이 늘어났다.
또 지난해 한국이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후자산 관리와 자산이전에 대한 관심이 커진 모습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상속의 중요성 부각과 함께 중장년층의 자산이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증여 관련 상품 및 서비스 개발 확대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고령화와 자산가치 상승세가 맞물리면서 당장 2년 뒤 국내에서 상속을 통해 이전되는 자산 규모가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1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60세 이상 가구당 자산 규모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에 따르면 상속을 통한 세대 간 자산이전 규모는 2016년 81조원에 이른다.
연구소는 가구당 순 자산(지출 제외)과 상속세 비과세 대상인 60세 이상 사망자 수를 곱해사망에 따른 상속자산 규모를 추정했다.
여기에 국세청이 집계한 상속 재산가액인 12조8천억원을 더하면 총 81조원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2020년에는 상속 자산이전 규모가 104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사망 전 증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 증여세 신고 건수는 2012년 7만7천789건이었지만 2016년에는 11만6천111건으로 단 4년 만에 49.3% 늘었다.
이는 상속보다는 장기간에 걸친 증여가 절세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최근 다주택자 규제가 강화되면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자산이전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다.
상속·증여 등 세대 간 자산이전이 금융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른 이유는 고령화와 자산가치 상승 때문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의 경제가 급속 성장하면서 부동산과 금융자산 가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6년 주택 시가총액은 3천732조원으로, 10년 만에 80.0% 상승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역시 2007년에서 2017년 사이 68.7% 증가했다.
이 덕에 노년층이 쥐고 있는 자산 규모도 많이 늘어났다.
또 지난해 한국이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후자산 관리와 자산이전에 대한 관심이 커진 모습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상속의 중요성 부각과 함께 중장년층의 자산이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증여 관련 상품 및 서비스 개발 확대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