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7일까지 서울 잠실동 샤롯데씨어터에서 공연되는 뮤지컬 ‘닥터지바고’(사진) 무대다. 이 작품의 한국 공연은 2012년 초연 이후 6년 만이다. 공연기획사 오디컴퍼니의 신춘수 대표가 리드프로듀서(프로듀서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로 참여해 2011년 호주 시드니, 2015년 미국 브로드웨이 등 외국 무대에도 올렸다. 신 대표가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헝가리, 폴란드, 독일 등에서도 공연된 적이 있다. 원작은 러시아 작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동명 장편소설. 내용은 원작과 같다. 러시아혁명 격변에 휘말린 두 연인의 운명을 그린다.
이 뮤지컬은 “화려하고 자극적인 연출이 아니어도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무대에는 탁자, 침대, 기차간 등 중소형 세트가 전부지만 무대가 빈약해보이지는 않는다. 서사적 배경은 혁명과 전쟁이지만 러브 스토리라 극이 잔잔하게 흘러간다. 기획사 오디컴퍼니는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대신 지바고와 라라의 감정선을 따라가는 데 집중하는 쪽으로 각색했다. 예컨대 지바고가 사라진 뒤 그의 아내와 동료들이 지바고를 애타게 기다리는 내용의 넘버(뮤지컬에 삽입된 노래)를 빼는 대신, 지바고와 라라의 사랑을 강조하는 넘버를 넣었다.
하지만 관객이 등장인물의 감정을 따라갈 수 있도록 충분한 단서를 주지 않아 어색하게 느껴지는 장면이 적지 않다. 지바고가 정신을 잃었다가 깨어나는 장면도 그렇다. 지바고는 생이별을 하게 된 가족 걱정을 한껏 하다가 갑자기 돌변해 라라와 세레나데를 부른다. 원작의 방대한 스토리를 짧은 무대로 축약하다보니 생긴 문제다. 6만~14만원.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